환경 파괴 등 우려 제기
사업 백지화 거듭 촉구
환경단체가 창녕 우포늪 습지보호지역에서 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를 베어내는 사업을 추진 중인 창녕군에 반기를 들고 있다. 관련 사업이 환경오염을 불러올 수 있는 데다, 사업 대비 효과 또한 미비하다는 이유에서다. 환경단체는 나무를 잘라내지 말고 자연 천이(식물 군락이나 종들이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현상)되도록 놔두는 게 낫다며 벌채 사업 백지화를 촉구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26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곽상수 창녕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등 참석자 10여 명은 "실패한 소나무재선충 방제 정책으로 우포늪 보호지역 안 숲을 난도질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재선충 감염 소나무는 그대로 두고 자연 갱신하게 두어야 한다"고 밝혔다.
창녕군은 재선충 문제를 해결하려고 지난달 15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습지보호지역 벌채를 신청했다. 우포늪 습지보호지역(854㏊)에서 4000~5000여 그루를 잘라내 파쇄하는 내용이다. 잘라낸 나무 한 그루당 처리 비용은 10만 원씩, 사업비는 나무 처리 비용만 5억 원 정도로 잡았다. 사업 기간은 내년 1월 1일부터 2029년 12월 31일까지다. 낙동강환경청은 25일 관련 사업을 승인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일본이 중단한 정책이 제대로 된 평가와 검토 없이 들어왔다. 2005년 뒤늦게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해 매년 대규모 재선충 고사목을 베어내고 산림생태계에 농약을 살포하는 무자비한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면서 "이런 실패한 정책으로 이제 우포늪 보호지역 내 숲을 난도질하겠다니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8일 우포늪 일대 숲을 답사한 결과 이미 고사한 소나무를 비집고 참나무가 자라 숲을 이루는 모습을 확인했다"며 "습지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라도 재선충 감염 소나무를 잘라내지 말고 자연 갱신되도록 두는 게 맞다"고 짚었다.
아울러 "창녕군은 숲 하층의 나무를 모두 간벌하는 숲 가꾸기 사업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인데 이렇게 되면 향후 5년간 우포늪 주변 산지는 모두 파헤쳐지고, 강우 시 산지를 뒤덮던 나뭇잎과 토양이 휩쓸려 하류에 있는 우포늪으로 유입될 게 뻔하다"며 "파헤쳐진 산지에서 유입된 물질은 우포늪을 녹조 공장으로 만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수종 갱신을 목적으로 소나무 고사목은 물론 참나무류가 주종인 어린나무까지 벌채하면 숲 생물다양성은 사라지고 말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이들은 "창녕군이 지금 하고자 하는 수종 갱신은 자연적인 수종 갱신을 가로막고 재선충 감염을 더욱 확산시키는 것으로 세금을 쓰기 위한, 사업을 위한 사업일 뿐"이라며 "보호지역 생물다양성과 산림 보호를 위해 당장 멈추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창녕군은 생태계에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화학 제품을 쓰지 않을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죽은 나무만 파쇄할 계획이며, 자연 복구할 수 있는 곳도 가려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남규 창녕군 산림녹지과장은 "사업 구역 중 도로와 인접한 곳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라면서 "3000그루 정도로 줄여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성윤 경남도 산림관리과장은 "우포늪 일대 고사목을 벌채하더라도 환경에 악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창녕군과 협의해 사업이 추진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 없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