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자체 예산 늘리고 자체 방제전략 강화하라"
밀양시 "수종전환 특별법 개정, 유인항공방제 재개를"

밀양·창녕·김해·양산 등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이 급하게 확산되는 가운데 경남도가 "800억 원 이상 방제비가 필요하다"고 정부에 요청했다.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극심한 밀양시 무안면 마흘리 가복마을 뒷산에서 19일 열린 산림청 주관 현장점검 현장.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극심한 밀양시 무안면 마흘리 가복마을 뒷산에서 19일 열린 산림청 주관 현장점검회의가 열렸다. /이일균 기자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극심한 밀양시 무안면 마흘리 가복마을 뒷산에서 19일 열린 산림청 주관 현장점검회의가 열렸다. /이일균 기자

오성윤 도청 산림관리과장은 "소나무재선충 피해 재발생량과 비율이 지금 가장 심각하다. 특히 경남은 밀양 한 곳에서 창녕·김해·양산·하동 등 5곳으로 극심지역이 증가했다"면서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 128만그루를 방제하려면 국비와 지방비 800억 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오 과장은 "올해 재선충이 급증한 것은 이상 고온으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활동이 강기화됐기 때문"이라며 "양봉농가 피해와 환경단체 반대로 중단된 유인항공방제를 재개해야 매개충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건의했다.

도내 피해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전국 시군 중에서 3번째로 높은 재선충 감염률을 보이고 있는 밀양시 측 국비 지원 요청도 간절했다.

박영훈 밀양시 산림녹지과장은 "피해 증가세를 줄이려면 생활권과 문화재 근처, 타 시군 경계지점 소나무재선충 방제를 위해 100억 원 이상의 국비 추가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박 과장은 "밀양에서는 산주 동의를 거쳐 감염지역 전체 소나무를 벌목하는 수종전환을 유도하고 있다"며 "산주 동의를 받기가 어렵고, 진행 중에도 산주가 반대하면 중단할 수밖에 없다. 산주 동의 없이 수종 전환을 할 수 있게 관련 특별법이 개정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지자체 차원의 지속적·장기적 방제전략 수립과 추진, 국비와 매칭할 수 있는 지자체 예산의 증액에 비중을 둔 대책을 제시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2007년 1차 피크와 2014년 2차 피크, 지난해 3차 피크 통계를 통해 지자체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방기 방제전략이 효과적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장기간 계획으로 방제에 성공한 제주지역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극심한 밀양시 무안면 마흘리 가복마을 뒷산에서 19일 열린 산림청 주관 현장점검회의가 열렸다. 사진 앞줄 오른쪽부터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 임상섭 산림청장, 안병구 밀양시장, 허홍 밀양시의장, 장병국 도의원 등. /이일균 기자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극심한 밀양시 무안면 마흘리 가복마을 뒷산에서 19일 열린 산림청 주관 현장점검회의가 열렸다. 사진 앞줄 오른쪽부터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 임상섭 산림청장, 안병구 밀양시장, 허홍 밀양시의장, 장병국 도의원 등. /이일균 기자

산림청은 이밖에 수종전환 정책과 지자체 예산 매칭 비율 상향을 방향으로 내놨다. 유인항공방제 재개에 대해서는 드론을 통한 무인방제를 계속하는데 무게를 뒀다.

이날 현장점검에는 박명균 행정부지사와 안병구 밀양시장, 허홍 밀양시의회 의장, 장병국 경남도의원 등이 함께 했다. 

/이일균 기자 iglee@idomin.com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