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환경자산이자 국제적 브랜드
최소한의 의견수렴 없이 지우다니

엊그제 뉴스에 경남도람사르환경재단이 경남도환경재단으로 통합 출범해 비전 선포식을 했다는 기사를 봤다. 경남도람사르환경재단은 시민사회가 제안하고 행정이 수용해 개최한 2008년 창원 람사르협약당사국총회 때 만든 국제적 브랜드를 가진 조직이다. 국제환경회의를 통해 획득한 '람사르'라는 브랜드는 경남도민의 귀중한 환경자산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산을 왜 떼어내 버렸는지 이해할 수 없다. 필요에 따라 조직을 통합할 순 있다. 그러나 통합의 명분은 적어도 당시 이런 일을 한 전문가와 활동가들의 최소 의견 수렴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2008년 람사르총회 유치 과정에서 민관 공동운영위원장을 한 당사자와 주기재·이찬원 교수 등 전문가들조차 사전 논의 과정이 없었다고 증언한다. 조직을 다 만들어 놓고 재단 대표가 양해를 구했다는 것이다.

람사르재단을 만들 때 민간 모금 수십억 원과 재단 고유 업무 변경, 국제적인 브랜드를 공개 토론 한번 없이 사장시킨 것이다. 일을 벌인 주체는 '경상남도환경재단'과 '경남도'가 내부에서 일방적인 기획으로 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과거에 김두관 지사 때 이런 시도가 있어 민간 전문가들의 반발로 무산된 적이 있다. 이후 홍준표 지사 때도 이런 시도가 있었다. 당시 환경부가 '람사르습지마을제도'를 국제회의에 제안하면서 우포늪 세진마을과 제주도 동백동산 등 우선 시범 마을이 되는 자리에 람사르 사무총장과 환경부장관이 참석해 협약식을 했다. 이 과정을 홍 지사가 지켜보면서 람사르재단을 그대로 사용하라는 지시를 했고, 지금까지 유지돼 왔다.

2008년 창원 람사르총회 당시 창원시는 환경수도를 표방했고, 람사르총회 개최 즈음엔 중국에서 따오기를 기증하는 등 수많은 국제적 협력과 축적된 환경자산이 도움을 줬다. 최근에는 우포늪이 유네스코 생물권보호 지역에 관한 업무도 람사르환경재단이 추진해 창녕군에 넘겨줘 유네스코 자산이 됐다.

다시 경남도에 묻는다. 시대적 과제로 재단 통합이 필요했다면, 국제적 환경 브랜드를 꼭 배제하고 국내외로 흔해 빠진 환경재단이라는 이름으로 해야만 했는가. '밥 팔아 똥 사 먹는다'는 속담에 꼭 맞는 일을 한 게 아닌가.

경남도에 과거 창원 람사르총회가 한 기록을 알려주며 거듭 재고를 요청한다.

당시 언론보도를 종합해 보면 이렇다.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가 2008년 10월 28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막했다. 150여 개국, 2000여 명의 습지전문가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전 세계인이 습지의 보전을 논의하는 국제적 환경교류의 장이 되었다. 건강한 습지, 건강한 인간을 주제로 진행된 총회에서 지구환경 보전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지구적 차원의 열띤 논의가 이루어져 어느 람사르총회보다 성공한 총회로 손꼽는다. 국립습지센터와 경남람사르환경재단, 동아시아습지센터 등이 람사르사무국과 환경부, 경남도가 힘을 모아 경남에 유치한 큰 성과물이다. 특히 창원총회에서 만든 '창원선언문' 속에는 기후변화에 대한 조항까지 미래 비전으로 제시했고 '논 습지 결의안'도 한·일 공동제안으로 통과하여 민관의 협력 사례로 큰 호응을 받았다. 그 내용을 보면 △습지와 수자원 △기후변화 △빈곤퇴치 △인간건강 △토지이용 및 변경 등을 주요 내용으로 채택했다. 람사르라는 브랜드는 시민운동으로 반드시 되찾아야 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