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모니터링 결과 "기준치 최대 34배 넘어서"

주남저수지 녹조 독소 기준치가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단체는 저수지에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남시민환경연구소는 지난 12일 조사한 주남저수지 녹조 모니터링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연구소는 주남배수장과 용산선착장, 산남선착장 등 3곳에서 녹조가 과다 검출됐다고 밝혔다. 일대 물을 퍼내 270여 종 마이크로시스틴 독소를 측정할 수 있는 일라이자(ELISA) 분석법으로 얻은 결과다.

창원 주남저수지가 녹조 영향으로 초록 빛을 띠고 있다. /경남시민환경연구소
창원 주남저수지가 녹조 영향으로 초록 빛을 띠고 있다. /경남시민환경연구소

조사 내용을 보면 주남배수장 녹조 독소는 271.6ppb로 집계됐다. 미국 친수 활동 정상 기준치(8ppb)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용산선착장와 산남선착장 역시 각각 177.5ppb, 114.9ppb를 기록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결과가 나왔다.

환경단체는 이를 근거로 창원시에 저수지 폐쇄를 촉구했다. 임희자 경남시민환경연구소 공동대표는 “국내는 녹조 독소 기준치가 없으므로 미국 친수 활동 관리 기준으로 수치를 비교해봤더니 주남저수지 녹조 독소는 기준치를 최대 34배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녹조 독소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간암, 생식기능 장애, 치매 등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기준치를 넘으면 일대 접근을 막는다”며 “시민들은 아무것도 모른 채 주남저수지 탐방로를 산책하고 있는 만큼 창원시는 저수지에 그 위험성을 알리는 안내문을 설치하고 당장 저수지 폐쇄령이 내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국농어촌공사 창원지사를 향해서는 “주남저수지 물을 전체 교체한다는 계획으로 수문을 개방하고 낙동강 물을 양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창원시 주남저수지과 측은 “환경단체 검사 결과를 통보받지 못한 상황이라 별다른 의견을 낼 수 있는 게 없다”고 밝혔다. 이어 “물 관리 주체인 농어촌공사와 협력해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석환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