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남도지사와 박종권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대표가 만날 날을 고대한다.
경남도는 민선 8기 도정 전반기 평가에서 '도민회의'를 성과로 꼽는다. 박 지사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지사가 주재하고 도민이 참여하는 도민회의를 열고 정책 제안에 귀를 기울였다. 지난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15회 동안 도민 324명이 참여해 201개 정책을 제안했고 이 중 88%(177건)가 도정에 반영됐거나 추진 중이다.
박 지사는 후반기 첫날을 도청에서 도민회의를 여는 것으로 시작했다. 도민 70여 명을 초청했는데 환경 분야 참석자는 환경미화원 단 한 명에 그쳤다. 그동안 기후위기나 환경 분야 관련 도민회의는 없었다.
박 지사는 지난달 24일 취임 2년 후반기 도정 방향과 비전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환경단체와 만나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듣는 자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완수표 친환경정책' 질의에 지리산케이블카 설치, 소형모듈원전(SMR) 제작 등 현안을 설명하겠다는 취지로 답했다. SMR은 300㎿e 규모 이하 소형 원자로다.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작·조립해 건설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어 핵이 기후위기 대안이라고 믿는 쪽에선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도는 창원국가산단에 SMR 주기기를 제조하는 'SMR 로봇활용 제작지원센터'를 유치하고 도내 원전기업이 SMR을 만들어 수출할 수 있도록 공정자동화 위탁생산 표준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그런데 도내에서 만든 SMR을 납품하기 전 실증 계획이나 대안은 뚜렷하지 않다. 박 지사는 취임 2년 기자간담회에서 "실험을 어디서 할 거냐, 이건 제가 아직 생각해 보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도는 SMR 제작지원센터에서 제작 단계에는 핵물질을 투입하지 않기에 원전 피해 우려는 없고 두산에너빌리티가 제작·수출할 SMR은 국외 구축 예정지에서 실증·운영될 것이라고 했다. 원전이 국외에서 실증된다고 해서 핵 위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도는 낙동강 보 수문을 열지 못한 채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 근거를 마련하고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녹조 발생 근본 대책을 외면하고 녹조 제거에 초점을 맞춘 부적절한 대책이라고 맞선다. 경남에서 케이블카 성공신화가 깨지고 있지만 도는 지리산케이블카가 새 마루지(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세운다.
조만간 도민회의에서 박종권 대표와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 남어진 밀양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강미영 거제 계룡중 교사, 이응인 시인 등을 만날 수 있을까.
/이미지 자치행정1부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