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총선 후보 37명 가운데 5명만 답변
지역언론 지원책에는 모두 '동의'

경남지역 총선 후보자 대부분이 언론·미디어 관련 정책 질의를 외면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2일 총선 후보에게 언론·미디어 관련 정책을 공개 질의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18일 언론노조 소속 9개 지역협의회가 있는 지역의 정당 시·도당 운영위원회에 정책 질의서를 보냈다.

경남지역 출마자 37명 가운데 답변을 보낸 후보는 5명(13.6%)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정호(김해 을)·민홍철(김해 갑)·이재영(양산 갑)·황기철(창원 진해) 후보와 녹색정의당 여영국(창원 성산) 후보 등이다. 더불어민주당 후보 12명과 국민의힘 후보 16명은 답하지 않았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오전 임시 국무회의가 열리고 있는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노란봉투법' 및 방송 3법'에 대한 재의요구안 의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지난해 12월 1일 오전 임시 국무회의가 열리고 있는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노란봉투법' 및 방송 3법'에 대한 재의요구안 의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응답자 5명 모두 지역민 알권리 보장을 위한 ‘미디어 바우처 제도 도입’을 찬성했다. 미디어 바우처는 언론이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직접 지원금을 내주는 제도다.

이재영 후보는 포털뉴스 디지털 위치기반서비스 제도 도입을 언급했다. 이 후보는 “지역민이 해당 지역의 뉴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소비하는 행위가 지역 언론의 생존력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당 지역의 전체적인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황기철 후보는 “정부 광고를 지역 언론에 우선 배정해야 한다”며 “정부 광고는 언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언론의 취약한 재정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고 답했다.

후보들은 또 언론의 공정성을 위한 방안 마련에도 공감했다.

이들은 언론사 사주의 사적 이익을 위한 언론사 인수를 견제하기 위한 법 개정과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봤다.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방송 3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방송 3법은 공영방송 이사회의 이사 수를 늘려 지배구조 안에 공공성을 불어넣는 법안이다.

언론노조는 2일 부산·울산·경남지역을 시작으로 9개 지역협의회 지역별 후보자 답변을 공개하기로 했다.

/김다솜 기자 

#총선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