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치료 가능 사망률 전국 세 번째 높아
지역 공공병원 확충하고 의료 인력 확보 힘 써야
경남 지역 의료 공백을 메우려면 의료인력 확보와 연결성 있는 의료체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다. 경상남도와 경상남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지난 15일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 호텔에서 <필수의료혁신 전략, 지역은 무엇을 해야 하나>를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공공보건의료 심포지엄을 통해 지역 의료 공백의 한계를 점검했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의료 공백의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다. 치료 가능 사망률을 보면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가 뒷받침됐더라면 피할 수 있는 죽음이 얼마나 많았는지를 알 수 있다. 2021년 시도별 치료 가능 사망률 현황을 보면 경남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보다 건강한 삶 누리려면 = 필수의료는 응급과 외상, 심뇌혈관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중증의료를 강화하고, 건강취약계층 의료서비스를 확대해 안전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뜻한다. 필수의료가 잘 갖춰져 있으면 지역민이 더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다.
나백주 서울시립대 도시보건대학원 교수는 경남도 필수의료의 현황을 여러 건강 지표로 짚어갔다. 경남도 기대 수명은 89.9세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4위다. 남녀 전체 건강수명은 64.3세로 전국 꼴찌에 해당했다. 사고 및 중독 경험률, 심장정지 발생률 등도 전국 평균값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여러 건강 지표가 ‘나쁨’을 가리키고 있었다.
나 교수는 ‘보건소’의 역할에 주목했다. 그는 “보건지소를 중심으로 방문건강관리 인력을 확충하고, 주민건강모임 활동으로 후속 관리가 필요하다”며 “농어촌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 기능을 통합해서 방문건강관리와 계획 수립 등을 진행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경남도에 진주의료원 부지 확보와 국공립병원 적정인력 산출 연구 용역도 진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필수의료를 위한 예산 확보 방안도 제시했다. 나 교수는 “광주시는 광주의료원 설립 과정에서 공공의료기금과 지방 담배소비세 등을 활용하자는 제안을 했었다”며 “기초지자체 지방소별 대응기금, 농어촌특별세 등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영철 통영적십자병원장은 “지역 공공병원을 300병상 이상으로 확충하고, 의료 인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며 “지역 책임의료기관과 권역 책임의료기관 사이 전원 시스템이 잘 갖춰져야 적정한 치료를 환자가 받을 수 있도록 해 의료공백이 생기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의사 인력 확보부터 차근차근 = 김영수 창원경상국립대병원 공공보건사업실장은 “연간 1조 원의 의료비가 경남에서 타지역으로 유출된다. 서울은 6조 8000억 원의 의료비가 들어오고 있다”며 “내부에서 사용하는 의료비는 310억 원밖에 되지 않고, 900억 원이 넘는 의료비를 외부에 쓴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좋은 의료기관을 만들어서 유지하는 일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관건은 의사 인력 확보다. 지난해 기준 경남 지역 인구 1000명당 1.74명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2.18명)보다 낮은 수준이며, 인구가 비슷한 부산보다 훨씬 적다.
치료가능 사망자 수처럼 의사 수도 시군별 격차가 벌어졌다. 국립대병원이 있는 창원과 진주, 양산만 경남 평균 의사 수를 넘어섰다. 거제와 산청, 함안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전국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김 실장은 “당장 의사를 늘리기 어려우니 남아있는 의사들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며 “공보의가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서 전문의까지 마치고 공보의로 파견한 다음 지역의사제(비수도권 의과대학에서 졸업한 인재를 그 지역에서 근무하게 하는 제도)가 생기면 지역 출신 의사로 바꾸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취약지를 지켜주는 의사들이 지치지 않도록 지원도 해야 한다”며 “경남도가 과감한 재정 투자를 하고 의료인력을 관리하는 담당 부서를 신설하는 등 책무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다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