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진주의료원의 폐업 결정은 300억 원의 부채와 누적적자에도 병상과 장비가 방만하게 운영된 것이 주 요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보건복지부가 삼일회계법인에 의뢰하여 작성한 2012년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 및 운영진단 연구용역 보고서에 의하면 진주의료원은 병원 이전 지역이 도심에서 멀고 이전지의 수요예측 등 기본적으로 해야 할 타당성 조사조차 미비한 채 이전 개원한 것이 패착의 주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를 볼 때 현재 진주의료원 부실의 책임은 수요예측 등 병원 규모와 개원요건 등에 대한 결정권을 가진 경남도에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방자치단체 산하 의료원 이전 때, 복지부 지정 기관의 사업타당성 조사를 요구한 것만으로도 도의 책임은 명백하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진주의료원은 이전 당시 지방공사로서 공기업법에 근거해 행정안전부가 관리 감독하고 있었고 병원 이전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했는지 확인을 하지 못했다고 했다. 어처구니가 없다. 수백억 원에 달하는 신축이전비용을 댔고 진주의료원장을 도지사가 임명하는데도 경남도가 수요예측 등 결정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돈만 대고 강 건너 불구경을 했다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더욱이 보건복지부가 진주의료원에 대해 내린 처방은 폐업이 아니었다. 지자체 주도로 진료와 운영에 효율을 기하는 데 있었다. 경남도가 멀끔히 팔짱만 끼고 보고만 있다가 덜컥 폐업을 결정해 버린 것은 아무리 좋게 보아도 이해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홍준표 지사는 도의회 보고에서 진주는 의료기관이 밀집되어 있고 이들이 공공의료를 감당하므로 부실한 진주의료원을 폐업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가 6일에는 현재는 휴업상태라고 한발 물러난 듯한 뉘앙스로 답변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사태의 심각성이나 고통받는 당사자들이 겪는 현실과는 너무나 동떨어진 인식이다.

이제라도 경남도는 덩그렇게 큰 시설을 지어놓은 책임감으로 폐업철회는 당연하고 제대로 운영할 묘안을 찾는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다른 시설로 옮겨야만 하는 환자나 종사자 모두 도민이고 진주의료원이 미래에도 도민의 건강 보루로 남는 길은 오직 하나다. 그 길을 홍 지사와 경남도만 못 보고 있는 건 아닌지 염려스럽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