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이유로 SNS 불만 폭주…"청사 대신 던져준 것" 주장도

창원시가 진해 옛 육군대학 터를 새 야구장으로 확정하자 지역 여론은 엇갈리고 있다.

◇지역 여론 엇갈려 = 마산살리기범시민연합은 31일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의원 9인 위원회가 청사 문제를 이른 시일 안에 결정하라"고 압박할 예정이다. 마산살리기범시민연합 조용식 상임대표는 "야구장이 마산에 오면, 청사 문제가 희석되지 않을까 우려도 있었다. 최악의 조건인 진해로 결정됐다는 게 우습지만, NC 구단과 내부적으로 정리됐으리라 본다"며 "9명 시의원이 약속대로 마산에 청사를 결정하면, 별문제가 없을 것이다. 청사가 아니면 시 명칭이라도 줘야 하고, 그리되면 도청사 유치 운동을 벌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과 진해 쪽 단체들은 대체로 '환영' 입장이었지만, 청사 문제에는 견해차가 여전했다. '창원시청 청사 이전 저지 시민대책위원회'에 참여하는 삼원회 정일기 사무국장은 "야구장 결정은 잘된 일인데, 청사 지을 예산을 장애인 등 복지 쪽으로 써야 하지 않느냐"며 "마산지역은 교통 등 모든 게 불편하다. 현 청사를 쓰는 방향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해시민포럼 이춘모 집행위원장은 "전·현직 국회의원과 시의원들이 결과적으로 야구장을 조건으로 진해시를 팔아먹은 것 아닌가. 청사를 포기하는 대신 던져준 것"이라며 "통합 전제조건인 마산과 진해 청사 1순위를 기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 후 오후까지 창원시청 누리집 '시민의 소리'에는 200건에 이르는 글이 올라왔다. 시민 다수는 이번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야구장 입지 타당성 조사에 대한 검증을 요구했고, 시장과 시의원들의 책임을 거론했다. 정 모 씨는 "시민을 위한 스포츠구단 운영, 시민의 소리를 제발 좀 듣고 결정하라. 하루빨리 철회하라"고 했고, 이 모 씨는 "이렇게 나눠 먹기 식으로 할 바에야 타당성 조사는 왜 했느냐. 타당성 조사 내용을 반드시 밝혀달라. 아니면, 시장 주민소환을 제청하겠다"고 남겼다.

SNS에도 수많은 댓글이 달렸다. 한 포털사이트엔 창원시 야구장 문제가 토론 이슈로 선정돼 누리꾼들이 공방을 벌였고, "전북으로 이전하면 좋다" "NC 미련없이 떠나라" 등 항의 글이 속속 게시됐다. 한 사용자는 "가장 큰 문제는 접근성이다. 야구는 주 6회까지도 열리는 만큼 퇴근 후 관람하는 스포츠인데, 과연 얼마나 많은 시민이 막히는 도로와 심리적으로나 거리상 먼 진해까지 관람하러 갈지 의문"이라고 짚었고, 다른 사용자는 "자기네 밥그릇 챙기려고 시민 의견 무시할 거면 여론조사는 왜 했느냐. 내년 지방선거 때 시민들이 물갈이 싹 해드리겠다"고 비난했다.

◇지역 시의원·국회의원 반응 = 마산지역 정치인들은 잇따라 입장을 내놓는 등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진해 쪽은 결과에 만족했고, 창원 쪽은 이후 상황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옛 마산지역 시의원들은 30일 오후 입장을 정리하고 대책을 마련하고자 모였다. 앞으로 기자회견 등을 통해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한 마산지역 의원은 "이번 야구장 결정이 오히려 청사 문제를 결정하는 데 수월한 측면이 있다"며 "1순위 마산과 진해 가운데 야구장이 진해에 정해졌으니 청사까지 동시에 가는 데는 의회가 합의하기 어렵다. 마산으로 청사 위치가 결정될 당위성을 얻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통준위 결정 순위에 대해 창원지역 의원들은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새 청사 건립에 반대하고 있다. 한 창원지역 의원은 "균형발전에 초점을 두면, 문화와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진해도 야구장 입지로 괜찮지 않으냐"면서 "청사와 야구장을 동시에 지으면 큰 재정 손실이 오고, 시민들도 원하지 않는다. 9인 위원회가 야구장을 배제하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해 현 청사를 그대로 쓰도록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해지역 의원들은 여유를 보였다. 한 진해지역 의원은 "균형발전 차원에서 이뤄진 시장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 "걸림돌 하나가 없어졌으니까 청사 논의는 활발해질 것이다. 진해 의원들이 잘 중재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마산지역 국회의원들도 청사 문제와 관련해 보도자료를 내고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 이주영(창원 마산합포) 의원은 "창원시 청사 입지는 통준위 합의대로 반드시 1순위인 마산과 진해 중 결정돼야 한다"며 "원칙과 합의가 지켜지지 않는다면 시 명칭을 포함해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안홍준(창원 마산회원) 의원도 "통합의 단초였던 통준위 의결사항을 지키는 것만 유일한 대안"이라며 "창원시는 시민 여론조사 발표를 통해 통준위 의결에도 없는 행위로 신규 청사 건립 비용, 제 2순위인 창원 39사단을 입지에 넣어 기본 합의 정신을 훼손시키고 극심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