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재검토 명령, 경남개발공사 타당성 용역 발주

창원 회성동 복합행정타운 조성사업을 맡고 있는 경남개발공사가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발주했다. 용역 결과가 나오는 11월 초, '준혁신도시' 대안으로 입안된 회성동 복합행정타운 사업의 추진 여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11일 경남개발공사에 따르면 '창원 회성동 복합행정타운 사업성 검토 용역'을 행정안전부 산하 지방공기업평가원에 의뢰, 지난달 24일 용역이 착수됐다. 용역기간은 11월 1일까지다.

개발공사가 이 같은 용역을 발주한 건 두 가지 이유에서다. 우선 창원시 통합으로 복합행정타운에 대한 공공기관 수요가 주는 등 애초 사업 목표나 구성에 변화가 생겼고, 특히 지난해 12월 행안부가 지방공기업 선진화 방안 가운데 하나로 지방공기업 사업들을 검토한 결과, 개발공사에는 행정복합타운 조성사업을 재검토하라는 경영명령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최근 행안부는 지방공기업 공·사채 발행기준을 대폭 강화해 애초 부채비율 1000%에서 400%로 낮추는 등 지방공기업에 대한 고삐를 죄고 있어 행안부 재검토 요청이 온 복합행정타운 조성사업에 대한 사업성 검토를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개발공사 관계자는 "사업을 한다 안 한다의 문제가 아니다. 지방공기업 입장에서는 사업비 회수계획이 불투명한 사업을 밀어붙일 여력이 없다. 그래서 통합 창원시내 공공기관 추가 수요가 있을지, 공공성과 사업성을 모두 담보할 수 있을지 용역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임채호 도지사 권한대행은 11일 오후 3시 경남도청 중회의실에서 '자족형 복합행정타운 조성 관련 대책회의'를 열어 현안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도시방재국장과 창원시 제1부시장, 경남개발공사 사장 등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복합행정타운 사업은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성동 일원 69만 2000㎡에 2895억 원을 들여 경찰서, 마산세관, 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 등 10여 개 행정기관을 입주시키고 나머지 터에 아파트와 주택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이었다. 지난 2007년 준혁신도시 대안으로 추진돼 그해 7월 경남도와 옛 마산시, 경남개발공사가 MOU를 체결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