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개발공사가 마산회원구 회성동 행정복합타운조성 공사를 해야 할 것인지 말아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정하기 위한 타당성 용역조사를 벌이겠다고 하는 것은 한편의 코미디를 연상케 한다고 해서 지나치지 않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지난 5년 동안 그곳 일대는 통합되기 전 마산시와 통합 후 창원시는 물론이고 경남도까지 가세해 사업추진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를 진행시켜 왔는데 이제 와서 준비단계인 타당성 용역조사를 하겠다니 앞뒤가 완전히 뒤바뀐 게 아닌가. 개발행위 허가를 제한하는 조치나 도시관리계획을 변경시켜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일련의 수순은 실제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해당지역 주민이나 시민들은 그러므로 그것을 믿고 신뢰성을 키워온 것인데 경남개발공사의 난데없는 역주행에 어이가 없을 것이다. 그럴 가능성이 다분하지만 만일 경남개발공사가 사업중단을 위한 명분쌓기 용으로 던진 승부수라면 그것은 악수이거나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회성동 행정복합타운은 경남개발공사의 상업적 판단에 의해 추진 여부가 판가름날 간단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원천적으로 경남도의 균형발전 정책 산물이며 옛 마산시를 거쳐 창원시의 대시민 약속사항이기 때문에 실제 책임소재는 두 자치단체에 있다고 해야 옳다.
회성동 자족형 행정복합타운은 혁신도시 유치를 두고 빚어진 지역 간 대립이나 주민 마찰을 해소키 위해 경남도가 당시 적지선정위원회 권고를 받아 이루어진 것이다. 혁신도시는 진주로 하되 마산에 주택공사를 비롯한 3개 주택기능군 공공기관을 별도 유치키로 했다가 그게 반영되지 않자 행정타운이라는 독창적 프로젝트를 창안한 것이다.
그동안 이 계획이 중앙 부처의 비협조와 경남도의 정치력 부재에 갈지자 행보를 면치 못해왔음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경남개발공사가 마치 그 책임이 자신에게 있는 듯 사업성 조사 운운하고 나섰으니 코미디와 다름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경남도와 창원시가 물러서는 방법으로 경남개발공사에 덤터기를 씌우는 것으로 작정했다면 그것은 올바른 선택일 수 없을뿐더러 예상되는 집단 민원을 존중할 의사도 갖지 않았다는 오해를 받기 충분하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