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개발공사 타당성 용역조사 의뢰 결정…사실상 퇴로 찾기
창원시 회성동 자족형 행정복합타운 추진 여부를 판가름할 주사위가 던져진다. 경남개발공사가 행정복합타운 타당성 용역조사를 발주할 계획이어서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남개발공사는 지난 5일 이사회를 열고 행정복합타운 타당성 용역조사 의뢰를 결정했다. 공신력 있는 전문기관에 용역을 발주해 사업 경제성과 투자 가치를 다시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당성 용역조사는 사업 추진을 위해 거치는 행정절차이지만 이번 용역은 사실상 퇴로를 찾기 위한 성격이 짙다.
이어 "3000억 가까운 사업비가 들어가는 사업이고 실패하면 개발공사 존폐가 달린 일"이라며 "공신력 있는 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른 시일 내에 사업 추진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경남개발공사 관계자는 "애초부터 사업성이 크지 않은 프로젝트였지만,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공공적인 목적이 있었기에 계획이 수립됐다"며 "하지만 입주를 계획했던 대부분 기관이 다른 곳에 입주해 공공성도 상실했고 더불어 사업성도 없는 것으로 자체 판단한다"고 밝혔다.
회성동 행정복합타운은 창원시 통합 이전인 2007년 준혁신도시 대안으로 추진된 사업이다. 이에 같은 해 7월 경남도와 마산시, 경남개발공사는 복합행정타운 사업시행 MOU를 체결했다.
![]() |
||
사업은 마산회원구 회성동 일원 69만 2000㎡에 2895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경찰서, 마산세관, 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 등 10여 개 행정기관을 입주시키고 나머지 터에 아파트와 주택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창원시 통합 이후 여건이 달라지면서 사업은 난관에 봉착했다. 마산세관, 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 등이 신포동에 조성 중인 마산정부종합청사로 입주하기로 하는 등 입주 예정기관이 대폭 줄었다. 게다가 부동산 경기 위축 탓에 경남개발공사는 재원 확보는 물론 사업 후 부채 발생으로 말미암은 부실화를 우려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그동안 개발을 기다려온 주민의 민원이 터져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창원시는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5년간 그린벨트 해제를 최대한 연장했다. 내년 2월이면 기간이 만료되고 추가 연장이 안 된다. 만약 사업이 무산되면 그간 건축 제한 등 재산 피해를 받아온 90여 가구의 민원제기와 손해배상 청구 등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창원시는 경남개발공사의 타당성 용역 결과를 지켜보면서 대책을 세우겠다는 계획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개발공사가 추진하는 용역이 최대한 빨리 나와야 판단이 가능하다"며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예단하기 어렵지만 만약 타당성이 없다고 나오면 도와 개발공사 등과 함께 후속 대책을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