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아sb 대책위-이군현 의원 간담회, 해결 적극적이던 선거운동때와 달라
통영 조선소 신아sb 사태 대책 마련을 위한 지역 국회의원과 간담회는 '조선소를 살리고, 살아야 한다'는 뜻이 강하게 표현된 자리였지만 갑갑했다.
간담회는 신아sb 살리기 범시민대책위와 이군현 의원 측 협의로 마련됐으며, 17일 오전 11시 통영시 북신동 이군현 의원 사무실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신아sb 살리기 범시민대책위는 RG(은행 보증) 문제를 집중 거론하거나 지역 국회의원의 정치적 역할 등을 특히 강조했다. 하지만, 지역 이군현 국회의원은 선거운동 당시 입장에 비해 한 발짝 물러난 듯했다. 간담회에는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 선박 관련 사무관이 참석했다. 그는 사실상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신아sb 김민재 노조 지회장은 "11일 유럽선사로부터 6척 수주 의향서를 받았지만 RG 발급이 될 수 있도록 채권단에 잘 건의해 달라"고 이군현 의원에게 요청했다.
한 참석자는 "통영 미륵도는 조선소 근로자 8000여 명이 일하다 4000명 정도로 줄었다"며 "시장 논리로 이를 보면 대기업 조선소 3개만 살아남는다. 신아sb가 문을 닫으면 중형 조선소는 중국으로 가고 만다. 회복기에는 수주를 못 하게 된다"고 호소했다.
이군현 의원은 법정관리 중이던 통영 성동조선을 채권단이 지원하게 된 자신의 역할과 그 결과 1조 2000억 원이 지원된 사실을 설명했다. 이 의원은 "성동조선과 신아sb는 차이가 있다. 성동은 사장이 엄청나게 노력했다. 정부 입장은 개별회사마다 다르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의 의견은 달랐다. 참석자들은 "시장 논리보다는 정치 논리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또 "노동자 인원이 줄어드는 것도 고통 분담이고, 임금을 줄이며 고통을 분담하고 있다"고 밝혔다. "채권단은 과연 잘했나"라고 따지기도 했고 "중소도시에는 중소기업이 살아야 하고 이는 신아sb만의 문제가 아닌 통영 경제 문제"라는 말 등이 잇따랐다.
이군현 의원은 "채권단은 돈을 빌려줄 때 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채권단 이야기를 들어보겠다. 채권단이 무엇을 바라는지 알아보고 신아에 알리겠다. 정부도 예전처럼 채권단에 함부로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군현 의원은 국회의원 후보 시절 "지식경제부 장관을 만나 대책을 논의하겠다"던 당시의 적극적 뉘앙스와는 차이가 났다. 그는 당시 "중소형 조선소를 살리기 위한 3000억 원 펀드를 조성하고 채권단인 은행장들과 조선소 대표들이 함께하는 대책회의를 열겠다"고 했지만, 이날 간담회에서는 "채권단에 전화해 보겠다", "들어보겠다"는 수준이었다. 간담회 후 한 참석자는 "그때와는 너무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신아sb는 선박 건조 능력은 있지만 이국철 회장의 정관계 전방위 로비와 경기 침체 등으로 2010년 5월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2008년 이후 단 1척의 수주도 하지 못하다 지난 11일 유럽선주와 6척의 수주 의향서를 체결했다. 의향서를 체결하고도 RG 발급이 안 되면 올해 안에 공장 가동이 중지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