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특별자치도'는 지난해 3월 낙동강 도정에 묻힌 김두관 도정이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신호탄 같은 것이었다. 부산, 울산, 경남 경계를 허무는 광역경제권 필요성이 대두하는 데 비해 신공항이나 식수 문제 등 현안 곳곳에서 파열음이 일자 세 자치단체를 통합한 특별자치단체를 만들어 시너지 효과를 누리자는 제안이었다. 일선 시·군·구 통합에 방점이 찍힌 정부의 지방행정체제개편에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 그 대안으로 제시한 개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부산은 논의 주도권을 선점 당했다는 불쾌감으로, 울산은 경제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는 판단에서 행정에서는 거의 논의되지 않다가 오히려 경제계와 시민사회계가 바통을 받아 동참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경남도는 올 1월 경남발전연구원에 '동남권 공동번영을 위한 실행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해 동남권 특별자치도를 비롯한 우정수 공급, 동남권 광역메트로, 함양∼울산 간 고속도로, 창원∼울산 간 도로, 관광과 차세대 에너지 벨트 등 9개 단위사업별로 나눠 구체적인 로드맵을 도출 중이지만 오는 11월에야 최종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어서 동남권 특별자치도 제안은 잠시 물밑에 가라앉은 듯했다.
이런 가운데 경남도의회발 '동남권 광역연합'이 동남권 특별자치도 제안에 호기를 주고 있다. 경남도의회 지방분권연구회가 지난해 12월 세미나 개최를 시작으로 특별위원회(위원장 김부영 도의원)를 만들어 동남권 광역연합 개념을 제시한 데 이어 오는 30일 동남권 광역연합 설치의 기본 뼈대를 밝히는 용역의 중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동남권 광역연합은 부울경 행정 통합을 주창하는 동남권 특별자치도와는 달리 3개 시·도는 그대로 두면서 행정적으로는 느슨하지만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는 연합체제를 만들자는 것이다. 행정통합을 목표로 한 동남권 특별자치도가 매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짧은 기간에 현실 가능성이 큰 광역연합체로 가자는 것이어서 지향점과 결과가 같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와 부산시민단체협의회가 동남권 광역연합 구성을 위한 3개 시·도 간 토론회 등에 적극적으로 동참 의사를 밝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