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실국원장회의서 강조

김두관 지사가 고리 원전사고 은폐를 비난하며 '동남권 특별자치도'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번처럼 여러 지자체에 영역이 걸친 안전사고에 제대로 대처하려면 김 지사가 제안한 동남권특별자치도나 최근 도의회에서 나온 '동남권광역연합'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지사는 19일 오전 9시 실국원장 회의에서 "동남권특별자치도도 제안하고 최근 도의회에서 동남권광역연합을 제안해 특위가 만들어졌다"고 먼저 상기시킨 후 "한 달 전에 사고가 난 고리 원전 같은 경우는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지만 그런 사고가 났을 때 그 영역은 경남, 울산을 포함해 반경 50㎞, 100㎞, 200㎞가 된다. 그런데 고리 원전 사고를 한국수력원자력에서 한 달 정도 숨겼다 뒤에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도 마찬가지지만 사고가 나면 즉각 상황에 대처를 하면서 정보 공개를 해서 각 관련 시·도와 부처가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그런 사고를 그냥 현장에서 숨겼다. 엄청나게 큰 재앙이 닥칠 수도 있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이런 상황에 대해 경남도의 어떤 국에서도 나한테 보고해주지 않았다. 신문이나 자료를 보고 '이건 아닌데'라고 생각했다"며 "원전 같은 경우는 도 경계를 뛰어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안전시설이기 때문에 그런 상황이 생기면 해당 실국이 즉각 보고하고 도 차원의 대응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며 가볍게 질책했다.

김 지사는 "이번 고리 원전 가동 중단 사건은 굉장히 중요한 점을 시사하는데, 간부들이 이를 유념해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마찬가지로 낙동강 생태계 조사 결과 등은 낙동강유역환경청이나 관련기관에 통보해 그쪽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반드시 공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