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들은 이미 행정 경계를 넘어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지만 행정이 경계를 쳐 기업활동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지난달 15일 부산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동남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부산 대도시권 연계 발전방안 정책세미나에서 패널로 참가한 한 기업인이 한 말이다. 거제의 한 인사도 "지난해부터 일고 있는 거가대교 통행료 문제도 부산 시민단체나 행정기관이 협력하면 통행요금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요지의 발언을 하면서 상호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동남권 통합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7일 경남도의회는 김부영(창녕1) 의원이 제안한 '동남권 광역연합추진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특위 위원 구성에 나섰다. '동남권광역연합'은 3개 시·도 행정조직은 그대로 유지하되 특별한 기능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격의 자치단체를 설립하는 내용이다. 앞으로 구성되는 특위는 동남권 광역연합 결성을 위한 경남·부산·울산 3개 시·도 간 협의와 관련법 개정 등의 실무를 맡게 된다. 그러나 지방자치법 일부 개정 등이 뒤따라야 하고 부산과 울산시의회, 나아가 시민단체 참여도 요구된다.

통합이란 게 쉽지 않다. EU는 100년이 걸렸다. 이처럼 부울경 통합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난해 9월 김두관 지사의 동남권 특별자치도 제안에다 대통령 직속 동남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의 부울경 발전과 상생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으로 부울경 통합 논의가 진전되고 있다. 하지만, 학계나 연구기관 등에서는 '통합의 걸림돌은 시도 발전연구원과 행정기관 자체'라는 얘기가 있어 이들 기관은 시·도민을 위해 아집을 내려놓아야 할 것이다.

   
 

비록 EU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지만 광역권 통합과 나아가 인접 국가로의 경제권 통합과 교류는 시대 흐름이어서 이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지역을 살리는 길임을 인식해야 한다. 물론 성급하게 할 필요는 없다. 하나하나 차분하게 살피며 한 뿌리였던 부울경 시·도민들에게 이익이 되고 발전되는 지역적 발전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