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연말께 용도 결정 … 기존 부두는 정부주도로 친수공간 개발

'마산만 19만 평을 추가 매립'하는 것으로 해양신도시 개발계획이 확정됐다. 

창원시는 마산만 입구의 항로를 12.5m 깊이로 준설하고, 현 서항부두 앞 바다를 63만㎡(19만 평) 매립한다는 내용의 결정 공문을 국토해양부로부터 전달받았다고 23일 밝혔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도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이로써 지난 2007년 2월 당시 마산시와 마산해양신도시(주) 간의 실시협약 체결을 전후해 줄곧 논란을 벌여온 해양신도시 개발 계획이 정리됐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국토부가 계획을 확정함에 따라 이제 논의는 종결하고, 추진 과정이 남았다"면서 "매립지 19만 평은 창원시가 개발하고, 매립 후 서항부두나 마산항 1부두 등 기존 부두는 정부 주도로 친수공간으로 개발될 것"이라고 밝혔다.

23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하는 박완수 시장.

매립지 19만 평의 형태나 용도에 대해서는 "매립 형태나 토지이용 계획은 창원시가 올 연말까지 충분히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며 "주거나 상업용도보다는 테마파크나 마리나처럼 고용 창출과 시민 휴식공간을 겸하거나 공익적 용도를 지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다만, 당초 계획보다 줄어든 매립 면적에 따라 발생하는 민간 참여업체의 손실 비용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주거나 상업 용도 등 이윤을 목적으로 한 토지 이용을 배제하지 않은 것이다.

공사가 진행 중인 가포신항 공사 기간은 내년 말까지 연장하고, 올 12월부터 내년 6월까지 서항부두 앞 투기장 조성을 끝낸다는 계획도 밝혔다.

마산만 매립 여부와 함께 논란이 됐던 가포신항의 용도에 대해 박 시장은 "국토해양부가 결정할 내용이다. 컨테이너 부두가 안 되면 잡화 부두 형태가 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본래 목적대로 컨테이너 부두 2선석과 잡화 부두 2선석, 관리 부두 1선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가포신항 계획 확정 당시 용도는 컨테이너 부두 5선석이었다.

게다가, 현재 마산항 이용 선사들이 4월 이후 부산신항으로 옮기려는 등 가포신항의 경제적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항로 준설, 마산만 매립 등 해양신도시 개발의 대전제였던 컨테이너 부두 조성과 3만t급 컨테이너선 유치 등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개발 계획만 끝내 확정된 셈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