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정도 조정위원장, 악취·해수오염 등 주민 인지 필요성 주문

지난해 활동했던 마산 해양신도시 조정위원회 허정도(사진) 위원장이 최근 창원시의 '마산만 19만 평 매립계획' 확정 발표에 대해 "마산의 해안 주민들에게 예상되는 환경피해를 미리 알려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그는 "매립 계획을 올 연말에 결정하겠다는 창원시 입장은 올해 안에 준설토투기장 호안공사가 시작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매립 계획과 설계도가 나와야 호안공사를 시작할 것 아니냐"는 것이다.

   
 

지난해 하반기 2개월간 활동하며 가포신항 용도변경, 매립면적 축소, 준설하되 매립하지 않는 방법 등 기존 해양신도시 계획에 대해 3가지 조정안을 냈던 위원회 대표자로서 이번 매립 결정에 할 말이 있었을 터였다. 그래서 지난 25일 그를 만났다.

우선, 예상되는 마산만 해안 환경피해에 대해 그는 "당초 매립계획 도면을 보면 신포동 현대아이파크부터 서항부두까지 2.5㎞ 길이로 매립지 끝에 높이 5.5m의 흙벽을 수년간 쌓아 놓는다는 계획이 있었다"면서 "언제 어떻게 흙벽을 만들 것인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인근 주민들에게 사전에 알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신항 준설토 투기장 조성과정에서 진해지역에 발생했던 깔따구 등의 해충발생뿐만 아니라 악취와 해수오염 문제에 대해서도 주민들의 사전 인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악취의 범위는 상당할 것이고, 준설토 투기장으로 인해 해수가 흐려지면 이를 수족관 물로 쓰는 어시장 일대 횟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23일 확정발표 당시 박완수 시장이 "매립의 형태, 토지이용계획 등 매립계획은 올 연말까지 확정할 것"이라고 한 점에 대해 허 위원장은 "그전에 준설토 투기장 호안공사가 시작될 건데,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가포신항 개발 민간참여업체인 (주)아이포트 강대영 상무도 "올해 7월부터는 호안공사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올해 12월까지 투기장 조성 1단계 과정을 마친다는 창원시 발표자료에서도 확인된다.

허정도 위원장은 "호안공사를 하려면 설계도가 나와야 한다. 그러려면 매립계획 확정을 연말까지 미룰 게 아니라 지금부터 연구해야 한다"면서 "공사비를 줄이는 데 모든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래야, 시장이 밝힌 대로 매립지를 공공목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끝으로 "공사비와 함께 비용 출연 방법을 먼저 정해야 매립 형태나 용도 등을 실질적으로 시가 주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며 "창원시가 결정권을 가진 만큼 공사비 산출 과정에서 건설회사를 배제해야 이윤 목적의 상업 개발을 막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