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형태 매립일 경우, 과도한 공사비 우려…창원시 다세대 주택 언급
'19만 평'으로 면적이 확정된 마산만 매립에 대해 창원시가 '섬' 형태 매립이 될 가능성과 함께 다세대 주택 등의 토지 이용 검토 의사가 있음을 처음 밝혔다.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 김현만 소장은 11일 기자 간담 과정에서 "매립 형태 등 계획이 확정된 게 없다"면서도 "올해 중에 매립지 호안공사를 하려면 매립 형태나 구간은 연중에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매립 형태에 대해서는 민간사업자인 현대산업개발도 안을 내고, 창원시도 안을 내 협의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계획 수립 과정에서 민간사업자와 협의할 계획도 처음 밝혔다.
"섬 형태의 매립 계획이 이미 확정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는 "섬 형태로 매립해도 약속대로 아파트나 고층 빌딩을 짓지 않을 수 있다"며 "다만, 다세대 주택은 검토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김 소장의 답변은 이날 오전에 창원시청에서 열렸던 창원물생명시민연대(이하 물생명연대)의 기자회견에 대한 입장을 내놓은 형태로 나왔다.
물생명연대는 "여러 근거를 볼 때 섬 형태의 매립 설계도가 이미 나와 있을 것"이라며 "창원시는 설계도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물생명연대 차윤재 공동대표 등은 그 근거로 지난 3월 국회 간담회 때 마산 서항부두 앞을 섬 형태로 매립하는 검토 안이 나왔던 점, 이후 국토해양부가 19만평 매립계획을 확정하면서 현 마산항 1부두와 서항부두 등을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던 점 등을 제시했다. 기존 부두가 친수공간이 될 경우, 매립지는 섬 형태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매립 형태는 공사비와 이후 토지이용계획을 결정하는 요인"이라며 "섬 형태의 매립은 사방에 호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과도한 공사비가 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럴 경우, 창원시가 제한하겠다고 약속한 주거지·상업지 등 상업적 목적의 토지 이용을 막을 수 없다는 논리였다.
아울러 물생명연대는 매립 기본설계도와 기본설계에 따른 대략적 공사 비용, 공사비 마련 방안 등을 오는 22일까지 창원시가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공개되는 안을 근거로 토론회를 계획하고 있고, 5월 3일까지 시청 주변 1인 시위를 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