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입되는 공사비 줄이면 아파트건설·내만매립도 필요 없어"허정도 위원장 토론회서 제안 "수심 조정하면 준설량 축소 가능"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 계획변경과 관련한 대안으로 '준설량을 줄이고, 저비용 매립공법으로 공사비를 줄이는 방안'이 제시됐다.

최근 창원시가 마산 해양신도시 매립면적 축소로 방향을 잡는 가운데, 해양신도시 조정위원회 허정도 위원장은 "창원시 예산으로 감당할 수 없는 수천억 원의 공사비 때문에 그 비용을 뽑기 위해 매립지에 고층아파트를 지어 분양하려는 것"이라며 "그러나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허 위원장은 9일 마산YMCA에서 창원물생명연대 주최로 열린 해양신도시 변경 방향 토론회에서 "우선 국토해양부는 수심 13m, 준설량 636만㎥를 계획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서 선박 관련 인터넷사이트 상의 선박 t수에 따른 항로수심 자료와 2009년 마산항 선박 입출항 실적자료 등을 제시했다. 즉 "어떤 선박도 3만t 정도의 선박에 필요한 흘수(만선일 때 배가 물에 잠기는 깊이)가 10.5m를 넘지 않으며, 여유 수심 1m를 더해도 준설수심은 11.5m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 경우 준설량은 전체 200만㎥ 안팎으로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준설량만큼 매립 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논리다.

   
 

또한 허 위원장은 "현재로는 돈이 가장 많이 드는 방식으로 매립 계획이 수립돼 있는데, 공법을 바꾸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주장했다. 매립공사에서 가장 돈이 많이 드는 호안의 형태와 길이를 조정하고 저비용 매립 공법을 모색하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사 비용을 줄여 창원시 부담으로 매립을 할 수 있다면 굳이 시공회사의 비용 보전을 위해 고층아파트를 지어 분양할 필요도 없다는 게 허 위원장의 주장이다. 그는 "그렇게만 된다면 굳이 내만을 매립할 필요도 없고, 설사 내만을 매립한다고 해도 친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창원시 항만물류과 박동제 과장은 우선 "신항 용도변경이 어려운 상황에서 시도 현실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허 위원장의 제안에 대해서는 "창원시도 공사비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정 사업에 2000억~3000억 원이 드는 것은 곤란하다고 본다"며 "좋은 방안이고, 시가 모색하는 현실적 대안과도 부합한다.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토론자였던 경남대 서익진 교수는 "용도변경이든 매립축소든 결국 창원시의 의지가 문제"라며 "도시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국토부에만 재정 책임을 넘기려 하지 말고, 일정한 부담을 감수하더라도 분명한 요구를 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이보경 집행위원장도 "급하게 결정해서는 안 된다. 유예기간을 두고 수심과 준설량, 매립면적을 충분히 검토하도록 하자"고 요구했다.

한편 허 위원장은 현재 해양신도시 예정지인 마산합포구 중앙부두 일대 내만을 매립할 경우 △준설토의 흙탕물로 어시장 일대 횟집과 상가의 피해가 예상되고 △공사 기간 중 악취 및 깔따구로 인한 피해도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예상되는 민원과 주민피해에 대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