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창진환경연합, 성동산업에 개최 요구…조선소 "불가"

환경단체가 성동산업(주) 마산조선소 측에 매립 관련 시민 공청회를 열어 달라고 요구했다.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이하 마창진환경연합)이 최근 성동산업(주) 마산조선소 매립의 환경영향평가서(초안)에 대한 의견서를 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마산시 봉암동주민자치센터 등에서 주민설명회를 했다고, 마산만 매립에 대한 시민의견 수렴을 거쳤다고 하는 것은 착각"이라면서 "마산만은 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된 바다로 수질개선을 위한 국가계획이 수립돼 있어 국민과 시민의 세금이 투입되는 특별한 곳이다. 따라서 마산만 매립에 대한 결정은 시민 전체 공청회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이어 단체는 현재 조선소 측이 밝힌 환경영향평가 초안에는 애초 국토해양부 중앙연안관리심의회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된 매립목적과 맞지 않는 계획이 담겼다고 주장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심의회에서 조선소 측에 '선박 적출장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필요면적만 매립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그런데 조선소는 탑재와 선체조립, 진수를 위해서 매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심의회가 매립을 허용한 내용과는 다르다"며 매립 목적 부합성 등을 다시 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환경연합은 매립 대상 부지의 주변 수중생태 조사를 계절별로 시행해, 일대 해안의 산란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조선소 측은 공청회는 불합리하며, 매립목적도 심의회가 제시한 내용과 다르지 않다고 반박했다.

조선소 측은 "공청회는 할 수 없다. 마산 합포동에서도 주민설명회를 했고, 법적 절차에 맞게 했다. 개인 기업이 필요에 의해 공유수면 매립을 하는데, 마산 시민 전체의 의견을 듣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또, 애초 매립 목적과 들어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적출장'은 법적 용어가 아니다. '탑재와 선체조립, 진수를 위한 부지'와 '적출장'은 같은 의미"라고 했다.

성동조선 마산조선소는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해 각 기관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대행업체에서 수중생태 등을 다 고려해서 조사를 하고, 환경 저해 요소를 다 제거하고 사업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