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날' 기념 포럼 개최…지역통합도 거론

마산만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무분별한 바다 매립 중단과 지역 통합론이 제시됐다.

마산만살리기시민연합,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 마산만특별관리해역민관산학협의회는 4일 오후 2시 마산 대우백화점에서 '바다의 날 기념 마산만 살리기 포럼'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마산상의 윤종수 부장은 "마산, 창원, 진해, 함안의 행정구역 통합으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게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제조업 확충을 위한 공유수면 매립이 계속될 것"이라며 지역통합을 마산만 살리기 방안으로 제시했다.

마산어시장상인회 최일광 전 회장은 "내년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 후보를 대상으로 마산만 살리기 공약을 다짐받아야 한다. 소모도 물길 트기 등을 통해 정체된 마산만의 물 흐름을 바로 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남대 환경공학과 김태훈 씨는 "시민이 나서서 오염된 바다를 되살려 놓았는데 매립 등을 통해 이를 다시 오염시켜서는 안 된다"며 매립 반대를 주장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장원근 책임연구원은 "미국 체사피크만은 중앙부처 대표, 시민 모두가 만을 살리려고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만을 살리고자 30년간 과학적 연구결과도 축적했다. 그 결과 체사피크만은 미국 해역 관리의 모델이 됐다"면서 "마산만도 오염총량제를 도입해 민·관·산·학이 함께 마산만을 관리하면서 이미 시행 1년 만에 수질 목표를 초과달성했다. 이제 새롭게 목표를 설정하는 등 더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산만살리기시민연합 임희자 집행위원장은 "85년도에 처음으로 마산만 오염총량제 도입이 주장됐는데, 20년이 넘어서야 제도가 시행됐다. 어렵게 제도가 도입됐지만, 바다를 오염시키는 매립이 계속되고 있어서 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