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극한 호우로 산청에서만 12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22일 오후 5시 기준).

자치단체에서 실종자 수색과 현장복구에 나서면서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800㎜ 가까운 비가 퍼붓다시피 해 사실상 '천재'에 가깝다 해야 할 것이다.

극한 호우로 말미암아 산청에서 총 1916가구 2536명이 대피했다. 특히 하루 3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진 19일엔 전 산청군민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21일부터 대피 주민 가운데 상당수는 집으로 돌아갔지만 아직 360가구 517명은 가옥파손과 유실로 여전히 대피소 생활을 하고 있다. 피해 지역별로 나누면 산청읍 299명, 신등면 50명, 시천면 38명, 단성면 33명, 생비량면 32명, 신안면 31명, 오부면 23명, 삼장면 6명, 차황면 5명이다. 하지만 사실상 산청 전역에서 재난피해가 발생했다. 이렇다 보니 21일 현장을 찾았던 이재명 대통령은 이튿날 산청을 합천과 함께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번 산청의 재난 사태는 향후 세밀한 원인 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기후 현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거라는 예측이 나오기 때문이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산청읍 지형, 인구 밀집도, 과거 산불과 자연재해 피해 이력 등을 토대로 사전 예측 가능성을 높이면서 적절한 대응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산청에서는 이전에도 산사태가 발생했지만, 이번처럼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지구온난화로 촉발한 기후변화가 이전에 겪지 않은 엄청난 재난으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현재 경남도와 산청군은 우선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응급복구에 나서고 있다. 지자체의 이런 노력은 분명 인정받아야 한다. 하지만, 단순한 복구작업 이전에 지역 공동체 유지와 발전이라는 관점에서도 바라봐야 한다. 지역소멸이라는 위기상황이 현실화하지 않고 지역을 지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고 실천해야 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