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정책 수립 촉구

전국 탈화석연료 네트워크 화석연료를 넘어서, 경남환경운동연합,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주최로 30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이 열렸다. 참석자들이 재생에너지 전환 수립을 대선 후보들에게 촉구하고 있다. /경남환경운동연합
전국 탈화석연료 네트워크 화석연료를 넘어서, 경남환경운동연합,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주최로 30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이 열렸다. 참석자들이 재생에너지 전환 수립을 대선 후보들에게 촉구하고 있다. /경남환경운동연합

오는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후보들을 겨냥한 정의로운 전환 청사진 수립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 탈화석연료 네트워크 화석연료를 넘어서, 경남환경운동연합,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은 30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전환 로드맵 수립을 21대 대통령 선거 여야 후보들에게 촉구했다. 구체적인 정책 수립 요구 사항은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2018년 대비 67% 이상 감축 △2030년 석탄발전 폐쇄 공식 선언 △석탄발전 폐쇄 용량에 상응하는 태양광·풍력 중심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 수립 △국내외 화석연료 인프라 개발사업 국가·공적 금융 지원 중단 선언 등이다.

단체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내세운 탈석탄 공약을 보면 그 시점이 2030년이 아닌 2040년으로 공식 발표됐다”며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탈석탄이 활발히 이뤄지는 현재, 2040 탈석탄이라는 공약은 크게 실망스러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사회와 과학계에서 제시한 탈석탄 연도인 2030년으로 상향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기후 공약이라고 할 수 없다”며 “특히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제출을 앞둔 올해 2030 탈석탄은 필수 불가결한 중간목표”라고 말했다.

단체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4개국이 2030년 탈석탄 목표와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해나가고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해외 주요국의 탈화석연료 흐름에 발맞추지 않는 것은 재생에너지 100%(RE100) 등 당장 글로벌 요구에 미달하는 국내 기업과 경제에 타격을 입히며, 기후 위기 대응을 여전히 유보하면서 미래세대가 감당할 비용을 가중하는 좌초자산을 늘리는 조치일 뿐”이라고 했다.

또한 “재생에너지는 이미 10년간 발전단가가 크게 하락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싼 발전원이며, 경제적, 건강적, 환경적, 사회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대안”이라며 “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이야말로 앞으로 대한민국이 신속하게 달려 나가야 할 국가적 목표임은 자명하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들은 요구 사항을 담은 정책제안서를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 원내정당에 전달했다.

/최석환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