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케이블카 공약 제시 비판
지리산 권역 사업 백지화 목소리도
도 "경제성 확보해 예정대로 추진"
환경단체들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더불어민주당 등에 케이블카 사업을 제시한 박완수 경남도지사를 비판했다. 또한 도가 추진하는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 백지화를 촉구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진주기후위기비상행동은 30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석자 10여 명은 손팻말과 펼침막을 들고 케이블카 사업 추진 반대를 외쳤다. 이들이 든 도구에는 ‘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지리산을 그대로’, ‘헌법 35조 1항에 따라 모든 국민은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진다. 도지사는 헌법을 지켜라’라는 문구가 표기됐다.
환경단체들은 박완수 지사가 오는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등에 제시한 정당 대선 정책공약을 문제 삼았다. 정확히는 경남도 핵심 100대 전략과제 가운데 하나인 관광·문화 분야 관광산업 활성화다. 여기에는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가 포함됐다.
단체 쪽은 관련 사업을 제시한 박 지사를 겨냥해 케이블카 설치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거두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남도는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이 환경도 살리고 지역 경제도 살린다고 주장하지만, 케이블카는 잠시 머물다 가는 관광이지 체류형 관광이 되지 못하므로 지역 상권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설악산 케이블카가 흑자를 보고 있어도 주변 설악동 상가·숙박업소 절반이 문을 닫고 상권이 황폐화한 사실을 봐야 한다”며 “전국 41개 케이블카 사업 가운데 수익을 내는 곳은 2~3곳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또 적자 가능성이 큰데다 환경 훼손마저 불 보듯 뻔한 사업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경남도에 주문했다. 그 근거로 통영 케이블카 사업이 2023년 기준 39억 원 적자를 봤다는 점, 그리고 사천 케이블카·밀양 신불산 케이블카·하동 케이블카·거제 케이블카 모두 적자투성이라는 점을 들었다. 생물다양성 보고인 국립공원 1호 지리산을 훼손하면 그 속에 사는 동·식물과 주민 삶이 파괴되고 기후변화 대응도 어렵다는 말도 강조했다.
단체들은 “박완수 도지사는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근거 없는 주장을 거두고 도지사 측근의 창원산단 지역 땅 투기 의혹부터 해명하기를 바란다”며 “새 정부에 생명 없는 개발정책이 설 자리는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빛의 정부는 윤석열 계엄 정권과 달리 개발보다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 환경의 생태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내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도는 이런 목소리에도 케이블카 사업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도 관광개발과 관계자는 "자연 보존해야 하는 것은 맞고, 지역민 관광 수익 얻어야 하는 것도 맞다"며 "그러므로 공존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케이블카 사업 적자 지적을 두고는 "외부 용역을 진행해 돈 되는 방안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사업은 예정대로 추진될 예정이며, 용역 결과는 이르면 다음 달 말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