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22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100% 국민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가 2차 경선에 진출했다고 발표했다.
2차 경선에 진출한 후보들은 24일과 25일 양자 토론에 이어 26일 합동 토론회를 할 예정이며, 29일엔 2명의 3차 경선 후보가 결정된다. 이 과정에서 만약 과반 득표자가 나오면 그 후보자가 곧바로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로 확정된다.
그런데 국민의힘은 자당 대통령이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파면으로 말미암아 급작스럽게 시작된 대선이어서 당내 혼란을 수습하기도 바쁜 와중에 경선을 치르는 중이다. 이렇다 보니 아직도 여전히 '탄핵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형국이다. 계엄 사태로 국민 고통을 키운 데 대한 책임 있는 발언이나 사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오히려 국민의힘이 대선 경선 1차 조별 토론회에서 대선주자들을 희화화했을 뿐만 아니라 후보를 검증한다는 본래 취지에도 어긋나 후보들에게 불쾌감을 줬다는 지적이 나온다. 계엄과 탄핵 이후 치러지는 대선 현실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경선에서 '지역'은 사라지고 없다는 것이다. 1차 경선에서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전통적인 보수층인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공략에 공을 들이는 행보를 보이긴 했다. 주요 후보들이 대구와 부산을 방문해 공약 논의를 하고 있지만, 경남지역은 상대적으로 제외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물론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지역 관련 공약 자체를 중심에 두기 어렵다. 1차 경선이 국민 경선이다 보니 현실적으로 적극적인 지지층 정서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던 측면이 있다.
그러나 국민의힘 대선 후보들이 경선 과정에서 지역 공약에 대한 아무런 준비 없이 임한다면 국민인 지역민을 무시하는 일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지지층에 대해서도 게으른 처사다. 경남지역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이 2차 경선 과정에서는 후보자와 친소관계를 떠나 지역과 국민을 위한 공약 만들기 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바란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