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당국 영남피해 규모
10만 4000㏊ 잠정 집계
경남 피해 면적 3397㏊
"화선 관측 운용 등 한계"
산청·하동 산불 피해 면적이 애초 집계보다 1.8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최근 산불이 잇따른 영남지역 산림피해 규모는 10만 4000㏊로 잠정 집계됐다. 진화 과정에서 추산된 산불영향구역 면적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차이 나는 수치다.
지역별 잠정 산림 피해 면적은 △경남 3397㏊(산청군 2403㏊·하동군 994㏊) △경북 9만 9289㏊(의성군 2만 8853㏊·안동시 2만 6709㏊·청송군 2만 655㏊·영양군 6864㏊·영덕군 1만 6208㏊) △울산(울주군) 1190㏊다.
이 숫자는 산림청과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각각 한 차례씩 모두 두 차례 조사를 거쳐 집계됐다. 산림청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8일까지 경남을 비롯해 경북·울산지역에서 산불피해 1차 조사를,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은 이달 9~15일 1차 조사를 토대로 각 지방자치단체와 2차 현장 확인 조사를 각각 진행했다.
잠정 산불피해 면적은 애초 집계된 산불영향구역 면적과 비교하면 큰 격차를 보인다. 산림당국은 앞서 경남지역(산청·하동) 산불영향구역을 1858㏊로 추산했다. 경북 산불영향구역은 4만 8000㏊로 집계했다. 이와 견주면 경남 잠정 피해 면적은 예상보다 약 1.8배 넓고, 경북 잠정 피해 면적은 2.1배 많은 셈이다.
산림당국은 차이가 큰 배경으로 산불영향구역 측정 방식과 화선 관측 장비 운용 한계를 지목했다. 산림청은 태풍급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면서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으로 포함하지 않았고, 강풍·연무 등으로 화선 관측 장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종 피해 면적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할 예정”이라며 “향후 초고속·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강풍·연무 상황에서도 화선 관측을 할 수 있는 고정익 항공기, 드론, 위성 영상 활용 등 2·3중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관계 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산림청은 지난 11일 산사태, 토사 유출 등으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4207개소를 긴급 진단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응급 복구와 산불 피해 나무 제거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피해 정도에 따라 자연·생태·조림 복원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계획이다. 피해 주민, 산주, 전문가가 참여하는 중앙·지역 단위 산불피해지 복원추진 협의회도 구성·운영하며,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도 세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산주와 임업인, 그리고 지역 주민의 조속한 피해 복구와 일상으로의 복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