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탄핵 촉구 창원시민대회
"국민 생각과 정반대 헌재에 분노"
시민들은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사건을 기각하자 허탈감을 감추지 못했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경남비상행동은 24일 오후 6시 30분 창원시청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시민대회를 열었다. 200여 명이 집회에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내란 방조 한덕수 탄핵 기각 규탄한다", "내란수괴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고 외쳤다.
배우자와 함께 광장을 찾은 이민숙(62·함안군 군북면) 씨는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 12.3 내란을 방조하고,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거부한 인물"이라며 "헌재가 설마 했던 기각 결정을 내려 몹시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한 총리는 그동안 상설 내란 특검도 거부하는 등 국민 정서와 거리가 먼 행보를 보여왔다"면서 "그런 이가 탄핵을 면하다니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병선(66·함안군 군북면) 씨는 "헌법 기관이 정치를 하는 것 같다"며 "탄핵 인용이 당연하다고 보는 국민 생각과 정반대 결정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헌법재판관 8명 가운데 5명(별개 의견 포함)은 이날 오전 10시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한 총리 탄핵 사건 선고기일에서 기각 의견을, 2명은 각하 의견을 냈다. 탄핵 인용 의견을 낸 이는 정계선 재판관 1명뿐이다. 이에 한 총리는 국회가 지난해 12월 27일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지 87일 만에 복귀했다.
김진록(58·창원시 마산회원구) 씨는 "법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적용되는 게 아닌 것 같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판단에 분노를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기각 결정이 윤석열 탄핵 심판에 영향을 줄까 불안감이 크다"고 말했다.
직무에 복귀한 한 총리를 겨냥해 당장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는 말도 잇따랐다.
김진해(54·창원시 성산구) 씨는 "헌법재판관 다수가 마 후보자 임명 보류가 위헌이라고 판단했다"며 "이런 상황을 고려해 빠르게 임명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그렇지 않으면 국민이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