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 수행 용역기관과 계약 해지 진행
공론화추진위원 신청 저조해 난항 겪어
명칭 변경 시민단체는 국회 국민청원 진행
합천군이 일해공원 명칭 갈등을 해소하고자 추진했던 주민 공론화 절차를 중단한다.
군은 최근 주민 공론화를 수행하는 용역기관과 계약 해지를 진행하고 있다. 찬반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론화 과정에 참여하지 않아 절차 진행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군은 합천군지명위원회 권고에 따라 공론화 절차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1800만 원을 들여 ㈔한국공공자치연구원과 연구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지난 7월 17일부터 31일까지 찬반과 중립의견을 가진 위원을 같은 비율로 선출하고자 공론화추진위원회 위원 모집에 나섰다. 하지만 지원이 저조해 추진위 구성이 불발됐다. 군은 공론화추진위원회가 구성되면 지난 8~9월 두 달 동안 활동하며 일해공원 이름을 둘러싼 갈등 해소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었다.
군은 공청회와 토론회 등 다른 방법도 다각도로 모색했지만 진척이 없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지역 내 단체들이 공론화 참여를 거부하면서 난항을 겪었고, 결국 다음 과정을 진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안타깝지만 용역기관 해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명칭 공론화와 관련한 군의 추가적인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12·12 군사반란일과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 비상계엄 사태로 일해공원 명칭 변경 요구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명칭 변경 운동을 벌이고 있는 새천년 생명의 숲 합천운동본부(운동본부)는 지난달 국회 국민동의 청원 홈페이지에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을 시작했다. 15일까지 5만 명 청원을 목표로 국회 기자회견은 물론 시민 선전전을 이어가고 있다.
운동본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해 45년 전 12·12가 겹쳐지게 하는 군사작전을 벌였다"며 "과거를 바로잡지 못한 역사는 끝없이 되돌아와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짓누른다. 이런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전두환을 찬양하고 기념하는 일체의 모든 것을 청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운동본부는 군사반란이 발생한 12월 12일 합천읍 일해공원 앞에서 '전두환을 지워버리는 날'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5·18 기념재단과 5·18 부상자회, 옛 전남도청 원형복원 지킴이 등 40여 명과 전국에서 함께하는 시민단체가 참여한다. 운동본부는 합천군청과 전두환 생가 항의방문, 기념 식수 표지판 철거 퍼포먼스 등도 진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