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 위기는 우리 공동체 전체가 고민하고 대응해야 할 과제이다. 때마침 공공산후조리원이 사천과 거창에도 생긴다.

거창과 사천에 생기는 공공산후조리원은 2022년 문을 연 경남 1호 밀양공공산후조리원의 성공적 운영이 큰 힘이 됐다.

경남도 복지여성국은 7일 민선 8기 후반기 도정 방향으로 정한 복지·동행·희망 함께 여는 도민 행복시대 3호 정책으로 경남 권역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계획을 발표했다. 산후조리원이 없는 서부권과 북부권에 권역 공공산후조리원을 건립해 인구감소지역 임신부 원정 출산을 줄이고 출산 가정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공공산후조리원 2·3호 지역 선정에는 시군 협의와 지역 내 분만산부인과 병원과 연계, 출생아 수,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에는 애로도 있었다. 지방비 100% 사업으로 추진하는 데다 민간사업자 민원 탓에 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사업이다 보니 경남에서도 2022년 이후 추가 설치 논의는 지연됐다. 그러나 지금은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밀양공공산후조리원의 성공적 운영 성공에 만족할 만큼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경남도 또한 그런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할 모양인데 환영한다. 경남도는 우선 수요를 고려해 공공산후조리원 2·3호 규모를 키워 지을 계획이다. 예산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다. 도는 인구감소지역인 거창군과 인구감소관심지역인 사천시는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 가능 지역이라 도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사업은 중점 투자 분야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그뿐만 아니라 경남도는 공공산후조리원 설치가 출생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출산 기반시설도 확대할 방침이다.

유감스럽게도 도내 18개 시군 중 분만 병원이 있는 곳은 10개 시군뿐이다. 8개 자치단체에 아이를 낳을 병원이 없다. 궁여지책으로 보건소를 찾게 하고 찾아가는 산부인과를 운영하는 것은 임신부의 신뢰를 얻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