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경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경남환경운동연합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미지 기자
10일 오전 경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경남환경운동연합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미지 기자

경남지역 환경단체가 박완수 경남도지사에게 그린벨트 제한 해제 요청 철회를 주문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이하 환경연합)은 10일 오전 경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지난 3일 경남도는 도내 개발제한구역 약 43㎢(약 1300만 평) 규모를 해제하는 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도는 창원시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김해시 동북아물류플랫폼 후보지, 양산시 물금읍 증산지구를 포함한 도내 총 12개 사업(산업단지 3개, 물류단지 3개, 도시개발 6개)을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신청했다.

환경연합은 이 사업으로 ‘철새도래지’로 알려진 창원 주남저수지가 난개발 위기에 빠지고 식량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김해시 김해평야 일대 논밭이 물류단지, 아파트, 공단 등으로 바뀌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단체는 “그린벨트는 탄소 흡수원이자 생물들이 서식하는 최후 보루 역할을 하는데 경남도가 해제하겠다고 제시한 규모(43㎢)는 경남 전체 그린벨트 면적(461㎢)의 9%에 달한다”며 “기후와 생물다양성 위기 시대에 이러한 도시 개발은 식량과 환경문제 악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환경연합은 양산 물금읍 증산리 도시개발 사업을 두고 무리한 개발이라고 비판했다. 경남에 미분양된 국가산단과 주택이 많다는 점을 근거로 언급했다.

단체는 “투기를 부추기는 그린벨트 해제 사업을 철회하고 경제·산업과 국민의 안정적인 삶을 보장하는 정의로운 전환을 모색하고 논의하라”고 요구했다.

경남도는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경남도청 도시정책과 관계자는 “개발제한구역 대체구역 지정을 조건으로 국가·지역전략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가덕도신공항과 부산항신항 건설로 물동량이 늘어나는 것에 맞춰 추가 배후 물류단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종엽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