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농가소득(2023년 기준) 4924만 원
2022년(4100만 원)보다 20%↑전국 최고
전국 최하위 여전...영세·소농 비율 높아

도, 통계청 표본자료 분석해 해결책 모색
미래 농업 대비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 추진
지능형 농장 확대, 청년 농업인 양성 등

경남지역 농가소득(2023년 기준)이 4924만 원으로 조사됐다. 경남도가 지난해 도 농업발전 종합계획에서 2022년 기준 4100만 원에 그쳤던 농가소득을 2023년 기준 4700만 원대로 끌어올리겠다고 했던 목표를 달성했다.

그러나 경남 농가소득은 여전히 전국에서 가장 낮다. 도는 통계청 표본 기초자료를 토대로 자체적으로 농가소득을 분석해 원인을 찾으면서 농업인·농업·농촌을 혁신하는 경남농업 디지털전환 정책으로 농업 변화 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농가소득·부채 모두 상승 =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농가소득(농업소득+농업외소득+이전소득+비경상소득)은 5082만 800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0.1%(467만 4000원) 증가했다.

통계청은 소득 종류별로 모두 증가했고 농가소득 비중은 농업외소득(39.3%), 이전소득(33.8%), 농업소득 (21.9%), 비경상소득(4.9%) 순으로 높다고 분석했다. 자세히 보면 농업소득(농업총수입-농업경영비)은 1114만 3000원으로 전년보다 17.5%(165만 8000원) 상승했고, 농업외소득은 1999만 9000원으로 4.2%(79만 7000원) 증가, 이전소득은 1718만 8000원으로 12.7%(194만 3000원) 증가, 비경상소득은 249만 7000원으로 12.4%(27만 6000원) 올랐다.

농가 연평균 가계지출은 3795만 3000원으로 전년보다 6.3% 증가했고 농가 평균부채도 4158만 1000원으로 18.7%나 늘었다.

3일 오후 창원시 의창구 동읍 무점마을 인근 들판에서 농부가 이앙기를 이용해 모내기를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3일 오후 창원시 의창구 동읍 무점마을 인근 들판에서 농부가 이앙기를 이용해 모내기를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경남 농가소득 전국 최하위 = 경남 농가소득은 4924만 9000원으로 전년 4100만 8000원보다 20.1%(824만 1000원) 증가했다. 통계청이 농가소득을 집계하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9곳(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중 가장 높은 상승세다.

하지만 전국 최하위다. 지역별 농가소득은 △경기도 5315만 1000원 △강원도 5290만 6000원 △충북도 4955만 4000원 △충남도 5057만 원 △전북도 5017만 4000원 △전남도 4963만 4000원 △경북도 4991만 7000원 △제주도 6053만 1000원으로 경남보다 많다.

도 관계자는 “경남 농가소득은 전국평균 농가소득보다 약 157만 원 적지만 경남지역 농가 부채는 3409만 원으로 전국평균 부채 4158만 원보다 749만 원 적다”며 “경남 농가 평균 자산도 6억 원으로 전국 9개 자치단체 중 세 번째를 기록해 타 지역보다 농가수지는 안정적인 양상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도는 그동안 통계청에서 조사한 경남지역 농가가 전체 농가 2.7%에 그쳐 표본 한계가 있다고 보고 올해 발표하는 2023년 기준 농가소득은 달라질 수 있다고 기대했었다. 2023년 조사부터 표본이 달라져서다.

밀양에 있는 경남도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교육생들이 실습하고 있다. /경남도
밀양에 있는 경남도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교육생들이 실습하고 있다. /경남도

통계청 관계자는 “2023년 조사 결과는 5년마다 농가 모집단 변화를 반영해 재설계된 표본개편 결과를 토대로 조사했다”며 “전국 표본농가 3300가구 중 2인 이상 2900가구, 1인 400가구가 대상이다. 표본 교체 시점에 주요 조사 항목의 결괏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시계열 단층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전반적인 지표가 모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경남지역은 표본이 달라졌지만 농가소득이 최하위에 그치며 최근 11년간 2015년 8위, 2017년 6위를 제외하면 줄곧 꼴찌다. 도 관계자는 “통계청이 조사한 기본 표본자료를 받아 데이터분석기관에 의뢰했다. 지역별로 영농형태가 다르고 표본 오차로 지역 간 농가소득 단순 비교는 적절하지 않지만 경남 농가소득을 제대로 분석할 계획이다”며 “타 지역보다 높은 영세·소농 비율, 높은 밭작물 비율로 농가 경영비 과다 지출 등을 세심하게 살필 것이다”고 설명했다.

통계청 농가경제조사 표본 배분 과정에서 지역 현실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지적은 경남도의회에서 제기된 바 있다. 육경원 정책지원관은 지난 1월 <정책프리즘>에서 “통계청 농가경제조사에서 지역별 영농형태 비율과 농가구성 인원별 비중을 고려했는지, 지역별 농업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농가경제조사 때 자치단체별로 추진하는 보조사업 등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의견수렴 절차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남도는 지난달 30일 진주 서부청사에서 경남농업 미래혁신위원회를 열고 '경남농업 디지털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경남도
경남도는 지난달 30일 진주 서부청사에서 경남농업 미래혁신위원회를 열고 '경남농업 디지털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경남도

◇“디지털 전환으로 미래 대비” = 도는 정부 국정과제인 ‘농업의 미래 성장 산업화’ 기조에 맞춰 경남농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지난달 30일 진주 서부청사에서 경남농업미래혁신위원회를 열고 ‘경남농업 디지털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농업미래혁신위는 지난 3월 농식품 관련 전문가와 종사자, 농업기관, 농민단체 등 25명으로 구성됐고 허태웅 경상국립대 축산과학부 교수가 민간위원장을 맡았다.

도는 지난해 8월 발표한 도 농업발전 종합계획 가운데 미래 농업 대비 분야를 시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지역 농업 약점을 시설 노후화로 농업소득 저조, 소규모 농업구조, 식품·가공업체 영세성, 수도권 원거리로 유통비용 과다, 수출선 편중 등으로 진단했다.

경남농업 디지털전환 3대 전략은 △미래성장 산업화 △전문농업인 양성 △농촌 재구조화·재생이다. 도는 제조업 역량을 결합해 지능형 농장(스마트팜)을 육성하고 농식품 수출가공클러스터를 조성해 대규모 업체를 유치할 계획이다. 고령화와 인력난을 대비해 전문 농업인을 양성하고자 청년 창업농 특구 조성, 청년농 창업 맞춤형 지원 등도 펼칠 계획이다. 살고 싶은 농촌을 만들고자 농촌공간 정비, 농촌체험휴양마을 조성 사업도 한다.

도는 2033년까지 사람(농업인)·산업(농업)·공간(농촌) 혁신 경남농업 디지털전환 추진계획에 3조 2994억 원을 투입해 사업 54개를 벌여 2033년 기준 농가소득 6800만 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이미지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