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선거제도 논의에 많은 시간을 보냈지만, 지역구와 비례 의석 비율이나 비례대표 선출방식 준연동제 등 21대 총선 제도를 그대로 따르기로 하면서 22대 총선 제도의 윤곽은 대체로 드러났다. 이제 253석에 맞추어 선거구를 획정하고 나면 22대 총선의 제도적 장치는 마무리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그동안 늦춰지고 주목을 받지 못하던 각 당 예비후보들이나 공천 과정에 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야 간 선거방식의 이견으로 많은 시간을 허비하면서 각 당이 총선공약을 정성 들여 마련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다.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이 정책에 대한 주의 주장과 지지·반대 등의 경쟁을 중심으로 진행되지 못한다면 국민 대의기관을 구성하는 의의를 저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제는 정당이나 후보들이 정책에 좀 더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유권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유권자들이 어느 정당 어떤 후보가 지역 총선공약에 진정한 관심이 있는지 유심히 살피고 선택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그동안 총선 과정에서 지역공약은 단기적인 이익에 치중하는 개발 관련 공약이 아니면 찾아보기 어려웠다. 여야 중앙당도 지역소멸과 균형발전 등 지역 주요 공약을 중심 총선 의제로 삼는 경우가 드물었다. 따라서 지역 시민과 언론이 나서서 지역사회에 긴급하게 필요한 의제를 부각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보는 '전환2024' 기획 보도로 이번 총선에서 정당과 후보들이 해법을 제시해야 할 10가지 의제 보도를 이어가는데, 그중 지역소멸·균형발전이 첫 번째다. 지역소멸·균형발전 과제는 한국의 지역사회뿐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미래 전망을 키우는 데 핵심적인 과제이다. 전 정부들에서도 이 과제에 집중하겠다고 약속을 해 왔으며 윤석열 정부도 주요 국정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그렇지만 실제 총선 과정에서 주요 의제로 부각하지 못한다면 지역소멸과 균형발전 과제는 또 떠내려갈지 모른다. 이번 총선에서 경남지역 후보들이 이 과제에 관심을 가지도록 지역 시민들이 후보와 정당의 정책을 감시해 나가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