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배 산업연구원 주요 발제자로 나서
탈탄소 전환 에너지자립 선제 대응 필요
"경남형 대표 탄소중립 산업단지 조성을"
지역소멸 위기시대 생존전략으로 ‘남해안 순환 지역 경제권’을 형성해 탈수도권을 넘어 국외 무대로 뻗어나가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창원시정연구원은 창원시·시의회와 공동으로 8일 창원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호텔에서 ‘지방소멸 위기시대 창원시 대전환’을 주제로 한일 국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김선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와 지방주도 균형발전-남해안 시대의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은 지역소멸과 기존 산업지역 쇠퇴가 동시에 일어나는 ‘이중’의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2010년대 이후 낙후지역은 점차 주변화되고 비수도권 산업도시는 경제적 쇠퇴기에 접어들었으며, 2019년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 절반을 넘어서는 지역소멸 위험이 더 심화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비수도권과 남해안지역 투자 하락세는 수도권 투자 상승세와 대조를 이루며 지역 불균형을 가속화한 점은 국가 성장을 저해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비수도권 생태계는 제조업 비중이 크지만 이와 연계된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 비중이 작아 수도권과 같은 방식으로 혁신생태계가 진화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김 연구위원은 동아시아로 눈을 돌려 전략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봤다. 그는 “중국의 새로운 대안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동아시아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국가 발전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해안권 새로운 성장 거점 마련은 경남·부산·울산-광주·전남을 연결한다는 점에서 비수도권 거점을 여러 군데 만들 필요가 없이 전략적인 집중투자를 이룰 수 있다는 논리다.
김 연구위원은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맞아 산업단지 탈탄소 전환과 에너지 자립에 선제 대응하려면 경남형 대표 탄소중립 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네덜란드 사례처럼 에너지기업 셸이 종합기술연구소를 개방해 스타트업, 연구소, 대학 등이 협력해 성장 동력을 만들고 일본의 순환경제 특화센터와 같이 자원 재활용·회수 기술의 중요성을 확대하는 발전 전략이 유효한 때라고 제시했다.
가와무라 가즈노리 도호쿠대학 교수는 일본의 지방정부 인구감소와 생존전략, 구본우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창원지역 인구문제와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김영표 시정연구원장은 “창원시가 인구감소를 비롯해 일자리·정주여건 취약성 확대라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이를 돌파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연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