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급감, 가격 하락에 조업 나가면 오히려 손해
업계 조업 잠정 중단, 올해까지 어선 보름 씩 휴어
"정부가 긴급 수매와 어선 감척 구조 조정 나서야"
바다장어 업계가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직격탄으로 결국 조업 축소에 들어갔다.
근해통발수협은 '제9차 이사회'를 열어 조업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고 올해 말까지 1차로 어선별 15일씩 휴어하기로 결의했다고 9일 밝혔다. 근해통발수협은 바다장어를 주요 생산물로 삼는 어업인 조합이다.
근해장어통발어업은 1910년 전후 남해안 통영을 전진 기지로 삼으며 본격화됐다. 1980년대 일본 수출에 탄력을 붙이며 성장을 거듭했다. 하지만 업계는 2000년대 이후 한중 어업 협정에 따른 조업 구역 축소, 바닷모래 채취, 근해 어선 조업 금지 수역 설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업계는 이런 상황에서 올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완전히 휘청이게 됐다. 국내 소비량은 수산물 안전성 우려로 크게 줄었고, 일본 수출 물량마저 감소했다. 업계는 판매처를 찾지 못한 채 재고 적체에 시달렸다.
선주들은 가격 급락에 출어를 해봐야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이다.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어선이 한 번 조업하면 보름가량 바다에 있는데, 기름값·인건비는 9000만 원가량 된다. 하지만 어획량은 8000만 원 수준에 그친다.
업계는 결국 잠정 휴업, 조업 축소를 결의할 수밖에 없었다.
근해통발수협은 재고 물량을 해소하고자 전국 수산물 행사장을 찾아다니며 소비 촉진 행사를 열었고, 군 급식 물량 확대에 힘을 쏟았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업계는 결국 정부 역할을 주문하고 있다.
근해통발수협 관계자는 "어업인들은 이제 생계를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안타까워했다. 관계자는 "재고 물량 적체를 해소하려면 정부 차원의 바다장어 긴급 수매가 필요하다"며 "또한 정부가 감척을 통한 어업 구조 조정으로 업계가 하루 속히 정상적인 어업 활동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석형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