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는 지난 6일 포털 사이트 다음 아고라 게시판에 진주의료원 폐업을 반대하는 내용의 청원글을 올리면서 포털 사이트에서도 진주의료원 구명운동이 시작됐다.

보건노조는 경남도가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을 내린 후 폐업 절차를 폐업하고 있지만 아직 일반 국민 중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많다고 판단, 여론 조성에 나선 것이다.

보건노조는 청원글에서 "지난 2월 26일 경남도의 갑작스런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이 결정됐으며 이유는 누적 부채와 매년 50억원 씩 발생하는 적자를 도가 책임질 수 없다는 것이었다"며 "진주의료원의 적자는 공공의료기관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지난 2012년 7월부터 직원 임금이 체불됐음에도 노조와 의료원에서 연차수당 반납, 토요일 무급 근무 등 회생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경남도가 이를 기다려주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진주의료원이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의료기관이지만 폐업 결정에서 지역민의 의견은 묻지 않은 점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노조는 "마땅히 국민에게 돌려줘야 할 공공의료기관을 단지 적자라는 이유로, 직원, 도민, 환자 등의 의견도 묻지 않고 폐업 처분을 내린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전국 34개 지방의료원 대부분이 부채를 안고 있지만 단 한 곳도 폐업처분을 받은 곳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진주의료원의 폐업은 단지 그것으로 그치는 일이 아니라 돈 안 되는 공공의료기관 폐업의 시작이 될 것"이라며 "일방적인 폐업에 굴하지 않고 돈보다 생명의 가치가 빛나는 사회를 위한 싸움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해당 청원글에는 7일 오후 3시 현재 2400명이 서명했으며 네티즌의 댓글이 이어졌다.

굿바이러스라는 네티즌은 "서부 경남 도민이 이용하는 문턱낮은 진주의료원이 무너지면 공공병원이 모두 무너지는 도미노 현상이 벌어 진다. 의료원의 기본 취지를 생각한다면 적자는 당연한 결과다. 흑자를 낸다면 환자에게 과잉진료를 하는 민간병원과 뭐가 다른가. 그때는 진짜 공공병원은 문을 닫아야 된다"고 주장했다.

다른 네티즌은 "진주의료원 정상화를 통해 진정한 공공의료를 지향하는 것이 경남도가 지금까지 지원안해서 생긴 진주의료원의 적자보다 더 효율적이지 않나요? 국민의 혈세를 거가대교같은 적자덩어리에 쏟아부어 민간사업자만 배불리지 말고 현 정부가 지향하는 '국민이 행복한 나라'처럼 공공의료인 진주의료원부터 지켜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자신이 진주시 하대동에 거주하는 주민이라고 밝힌 다른 네티즌은 "매주 통원치료를 받는 시민으로 과다진료를 하지 않는 양심병원인 진주의료원 폐업을 반대한다"고 댓글을 달고 또다른 네티즌은 "진주에 유일한 서민을 위한 병원인데… 공공성을 무시하고 폐업만 하면 끝인가? 생활보호대상자는 일반병원에서 잘 받아주지도 않는다. 우리는 갈곳이 없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