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시간 연장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지난 40여 년간 시행된 오전 6시~오후 6시까지인 대통령·국회의원선거 투표시간을 오전 6시~오후 8시로 2시간 연장하자는 내용의 법안이 국회에서 논의됐지만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투표시간 연장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된 것은 대표성의 위기가 초래될 정도로 투표율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4·11총선 투표율은 54.2%이며, 특히 한창 일할 나이대인 20대 후반에서 40대까지의 투표율이 낮다. 도내 30대 후반 남자 투표율은 42.7%에 불과하다. 대통령선거도 마찬가지다. 15대(1997년) 투표율이 80.7%이던 것이 지난 17대(2007년)에는 63%로 급격히 추락했다.
여당인 새누리당을 제외하고는 야당이나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투표시간 연장에 찬성하고 있다. 투표시간을 연장하려는 것은 직장에 나갈 수밖에 없는 서민들의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투표율이 추락하는 것은 경제여건 악화로 말미암은 자영업자의 확대, 서비스업 종사자, 비정규직 노동자 등의 열악한 투표환경 때문이다. 민주노총은 투표시간 때문에 투표를 포기하는 유권자가 600만 명에 이른다고 추정한다. 즉 축산농, 택배노동자, 고속도로휴게소, 통신사, 중소병원, 자영업자, 건설노동자, 화물노동자 등은 투표시간대에 투표소로 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중소 사업장이나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투표하기가 어렵다.
현행 근로기준법에는 노동자가 투표시간을 청구하면 사용자는 거부하지 못한다고 규정되어 있지만 이 또한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해 한국정치학회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잘 나타난다. 비정규직 노동자 8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투표 불참자 중 64.1%가 "투표 참여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답변했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관리운영상의 문제, 예산부족과 사회적 비용증가 등을 이유로 투표시간 연장을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많은 국민은 의아해하고 있다. 오히려 국민은 투표시간 연장으로 투표율이 올라가면 새누리당이 불리하기 때문에 그러는 것이 아닐까 추측하기도 한다. 국민대통합을 내세우는 새누리당이라면 많은 사람이 투표에 참여할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투표는 국민의 기본권이다. 기본권이 지켜지지 않는 나라를 민주국가라 말할 수 없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