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자연성 회복, 현행 방침으로는 어려워
"이 대통령, 공무원들에 상세 지시해야" 요구

경남환경운동연합·낙동강경남네트워크 주최로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이 열렸다. 참석자들이 정부를 겨냥해 4대강 자연성 회복 정책 수립 계획을 밝히라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최석환 기자
경남환경운동연합·낙동강경남네트워크 주최로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이 열렸다. 참석자들이 정부를 겨냥해 4대강 자연성 회복 정책 수립 계획을 밝히라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최석환 기자

4대강 자연성 회복 정책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라는 목소리가 높다. 환경단체는 환경부가 밝힌 녹조 저감 대책이 무용지물에 불과하다며 근본적인 해결책 시행을 주문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환경부 등 공무원에게 하루빨리 취·양수 시설 개선, 수문 개방, 보 처리 방안 마련과 같은 업무 지시를 내려 4대강 자연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보좌하는 공무원들은 4대강 자연성 회복 정책을 뒤엎고 기후 위기 대응 댐을 폭압적으로 강행했던 윤석열 정권 고위 관료들”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국정과제가 제대로 실현될 수 있을지 의문이므로 명확한 대통령 지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희자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이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낙동강 녹조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최석환 기자
임희자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이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낙동강 녹조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최석환 기자
임희자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이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낙동강 녹조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최석환 기자
임희자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이 2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낙동강 녹조 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최석환 기자

이들은 새 정부 녹조 대책 수립·시행 과정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말도 꺼냈다. 또한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와 환경부 장관 의지 표명이 무색하게 여전히 이렇다 할 녹조 대응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단체들은 “지난 주말 낙동강 녹조는 올해 들어 가장 심각한 상태였다”며 “낙동강 본포, 임해진, 함안보, 칠서, 개비리길, 박진교, 합천보 낙동강 경남 구간 전체가 녹색 페인트를 푼 것처럼 녹조가 가득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 국정과제 발표 뒤로도 상세한 4대강 자연성 회복 계획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4대강 자연성 회복 문제는 지난 13일 발표된 국정기획위원회 123개 국정과제에 포함됐다. 환경부는 엿새 뒤인 19일 올 연말까지 녹조 종합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말 조류경보제 채수 위치 조정, 경보 발령 일자 채수 당일로 변경 등도 내놓았다.

단체들은 강물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것만이 4대강을 살릴 유일한 해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낙동강 8개 보 수문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취·양수 시설 개선 사업비를 최대한 빨리 확보해야 하며, 좌고우면하지 말고 임기 초반에 추진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