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사회대통합위원회 2기가 6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출범했다. 2기 위원회에는 사회 각 분야 전문가, 귀화인 등 도민 70명이 참여해 2026년 11월까지 위원으로 활동한다.

사회대통합위원회는 2022년 7월 '민선 8기' 도지사 취임식 때 "경남만이라도 진영과 이념, 세대를 아우르는 화합과 통합 도정을 펼치겠다"고 강조한 박완수 지사 방침에 따라 그해 11월 구성했다. 광역지자체로서는 유일한 위원회이다. 사회대통합위의 취지는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직속 1호 위원회인 국민통합위원회의 설립목표와 같다.

윤석열 정부의 국민통합위원회는 2022년 5월 30일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국민통합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대통령령으로 공포하면서 2022년 7월 27일 출범했다. 그러나 국민 통합을 위한 역대 대통령 자문기구인 이명박 정부의 사회통합위원회, 박근혜 정부의 국민대통합위원회나 현 정부의 사회대통합위원회는 실질적으로 국민 통합의 중심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회분열 '소용돌이의 핵'이 된 행정부 내에서 유명무실해질 수밖에 없었다. 대통령 국민통합 자문기구들이 대통령의 유연성과 개방성을 키워야 하는데, 그런 역할을 부여받지도 못하고 할 만한 상황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란 사태 등 작금의 혼란과 분열이 윤석열 정부에서도 국민대통합위원회 역할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을 역설적으로 방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역에서는 도지사의 자문에 응하는 사회대통합위원회가 일정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중앙정부에서는 행정부의 국민 통합적 정책 시행이 약화해도 국회가 나서서 대화, 타협, 통합을 중재하고 주도할 수 있다. 하지만, 지방의회는 주민 통합과 대화 타협 역할이 상대적으로 취약해 도지사의 개방적이고 균형적이며 타협적인 정책 시행 의지만 있다면 주민 통합과 대화 타협 매체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자면 사회대통합위원회의 역할이 더 강화되고 도지사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개방적인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주민 신뢰를 획득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