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창원시의 광역시 승격과 도청 이전은 맞물려 돌아가는 자전거 바퀴와 같다. 광역시가 되면 도청은 어차피 딴 곳으로 옮기지 않을 수 없다. 정부가 원하든 원치 않든 경남도민으로 남아있어야 하는 다른 지역 주민이 창원 잔류를 바라지 않을 것이다. 3개 시가 하나로 통합된 때부터 제기된 이 물림 구조가 지금까지 별다른 이탈 현상을 보이지 않은 이유는 '경남'이라는 전통적 연대감이 살아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원시의 행정 지위가 경남도와 똑같은 직할체제로 동급화되면 더는 한지붕 아래 양립할 수 없고 그때가 되면 도청 이전은 자연스레 논의의 중심에 서게 될 것이다. 다만, 지금은 그럴 처지에 있지 않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을 뿐이다.

그런데 홍준표 새누리당 도지사 후보가 때 이르게 불씨를 지폈다. 통합으로 상대적 박탈감이 높은 마산에 도청을 옮기고 진주에 제2청사를 두겠다는 공약성 구상이 그것이다. 도청을 마산으로 이전하겠다는 것은 창원시의 광역시 승격을 전혀 고려치 않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같은 창원시역에서 위치만 바꾸는 일이므로 다른 행정적 변화는 수반되지 않는다. 진주 제2청사를 두겠다는 공약성 구상이 그것이다. 도청을 마산으로 이전하겠다는 것은 창원시의 광역시 승격을 전제로 하는 도청이전에 한발 가깝게 다가선 계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도청 마산 이전은 현재 행정체제에선 안 될 일도 없으나 객관적으로 살펴 실현성은 매우 낮다. 임기 1년 반짜리 도지사가 소화할 수 있는 사안으론 너무 무거운 것이다. 창원시 승격 역시 절차와 과정상 여러 난제가 간단치 않고 전국적인 행정체제 개편 작업과도 무관치 않아 쉽사리 추진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다. 광역시가 되는 일반 조건은 갖추되 시기상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문제의식에 앞서 짚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지역 자율성이다. 3개 시 통합의 기본원칙은 주민 스스로의 결정을 천명했지만 실제 주민 의사는 반감되고 정치권에 의해 좌우됐음은 이미 다 인정하는 사실이다. 그 결과 통합 창원시청사를 중심으로 지역 대결 양상이 벌어져 시민갈등이 이만저만 아니다. 홍준표 발언으로 촉발된 도청이전 또한 정치권의 선거공학적 이해타산이 자리잡고 있을 뿐 진정한 의미의 민의가 투영됐다고 보기 어렵고 그로써 또 하나 갈등의 기제가 되지 않을지 걱정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