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지도부 허심탄회 대화에 언론·선관위 신경 쓰여" 해명
연말 도지사 보궐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 도청 회의를 용인한 임채호 도지사 권한대행의 정치적 중립 의무 훼손 여부를 놓고 논란이 오가는 가운데, 경남도가 13일 비공개 회의 내용을 브리핑했다.
경남도는 나흘이나 지나 브리핑하는 데 대해 "도의회 일정 등으로 시간이 나지 않았다"고 설명했지만, 당정회의 이후 언론 비판이 이어진데다 민주통합당에서 임채호 도지사 권한대행을 '새누리당의 하수인'이라며 파면을 촉구한 때문으로 보인다.
박유동 정책기획관은 1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를 찾아 "지난 13일 비공개 회의에서 문제 될 만한 내용은 없었다"며 "결과적으로 보면 비공개할 내용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새누리당의 회의 비공개 요구를 받아들인 이유를 묻자 "회의를 공개하면 새누리당 최고위원들이 허심탄회하게 말을 못한다는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연구개발 특구 지정과는 부산지역 의원들과 미묘한 입장 차가 있고 특히, 예결위원장이 참석한 회의여서 비공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언론이나 선거관리위원회가 신경 쓰여 제대로 대화를 나누지 못할까 봐 비공개로 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정작 박 기획관이 밝힌 이날 비공개 회의 내용은 한 달 전 새누리당 지역 국회의원과의 정책간담회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발언록에는 지역 국회의원 요청만 많고 지도부의 확실한 대답은 없었다.
회의가 경남도청에서 열렸고, 새누리당과 경남도가 대등한 입장에서 연 당·정 회의였지만 개최 여부부터 회의 장소, 공개 여부 무엇 하나 경남도가 결정한 것이 없다. 언론과 선관위 직원 퇴장 처리까지 모두 새누리당 당직자가 맡았다.
선관위의 장소 변경 요구와 비공개 회의 입회 요청을 임 대행도 알고 있었느냐는 질문에 박 기획관은 "임 대행은 경남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회의라는 차원에서 접근한 것일 뿐"이라고 둘러 말했다.
선관위는 지난 14일에 이어 이날 실무담당자와 실국원장을 상대로 비공개 회의 내용을 조사했다. 실무진이 회의 내용을 기록한 수첩을 확인해 기본 내용을 조사했고 이를 바탕으로 실국원장에게 사실을 확인했다.
도 관계자는 "장소는 시일이 촉박해 바꿀 수 없었고 비공개 회의 입회는 안 된다고 말했고 선관위도 분명히 수용했다"며 "선관위가 조사권을 갖고 있는데 끝까지 (비공개 회의에) 남아 있어야 했다. 이미 나가놓고 인제 와서 사실 확인을 한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선관위를 비난했다.
민주통합당 경남도당은 "논평으로 대응할 게 아니라 더욱 심도있게 논의해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며 "곧 후속 입장이나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임 대행은 권한대행을 맡은 첫날부터 직원들에게 대선과 보궐선거를 앞둔 정치 중립을 강조하며 특별감찰팀을 가동시켰다. 더불어 김두관 전 지사의 환경과 정치 전위부대인 낙동강특별위원회와 민주도정협의회 운영 불가 통보를 했고, 허성무 부지사가 낙동강특위 위원장을 고발한 수자원공사를 비판하자 경남도의 입장은 아니라며 공개적으로 입단속을 시키기도 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