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경남선거관리위원회의 권유와는 다르게 경남도청 회의실에서 정책간담회를 겸한 최고위원회를 강행하는 저력을 보였다. 김두관 지사 재직 시 민주통합당이 세 차례에 걸쳐 경남에서 열렸던 최고위원회를 선관위의 종용을 존중해 도청 외 장소에서 개최했던 전례를 고려하면 상당히 고압적인 자세가 아닐 수 없다.
현재 경남도지사는 공석 중이다. 행정부지사가 임시로 권한을 대행하고 있는 처지에서 당정협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익이 있을지도 의문이다.
새누리당은 처음에는 현장 최고위원회라는 제목을 내놓았다가 선거 정국인 관계로 말썽이 따를 듯하자 다시 정책간담회를 추가함으로써 지역 의제가 핵심논의거리가 아님을 명백히 했다. 경남도는 대행체제로 접어든 지난달 서울에서 지역출신 새누리당 국회의원들과 정책 간담회를 연 바 있어 그 효용성이 반감된 상태다.
사정이 이와 같으므로 새누리당의 도청 최고위원 회의가 양대 선거를 겨냥한 민심 다지기 용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집권당 최고위원들이 경남도청에서 현장회의를 열었다 하여 필요 이상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니다. 도청 역시 공공장소이며 따라서 회의 장소로서는 적법한 곳이다.
지사가 궐위되지 않고 보궐선거가 예정돼 있지 않았다면 최고위원회 회의를 하필 경남에서 열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도청회의를 선택했다 하더라도 별다른 의미를 전파시키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도지사 자리를 야권 단일 후보에게 빼앗겼고 그걸 탈환하기 위한 당 차원의 선거 전략이 유례없는 도청 최고위원회를 있게 했다는 세간의 시각은 시기적으로 공감대를 낳기에 부족하지 않다. 도선관위의 공정한 유권해석이 그래서 필요하다. 우려하는 바의 사전선거운동 내지 공무원의 중립의무가 철저히 지켜졌는지를 확인하는 절차가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