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1차 예비선정한 야구장 후보지 6곳은 그동안 시 당국이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해 마지않았던 지역안배 일환으로 해석된다. 3개 지역당 두 곳씩 후보군에 포함시킴으로써 해당주민들의 상실감을 예방하겠다는 충정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가 시청사와 기념물 건립지를 비롯한 3대 통합기념사업 중 유독 야구장 적지 선정을 서두르는 이유는 자세한 설명이 뒤따르지 않는다. 제9구단 측의 조기 건립 희망을 반영키 위한 것이라는 해명이 있긴 하지만, 야구장 후보지가 선 확정되면 청사후보지 선정을 둘러싼 복마전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우려는 또 어떻게 해소할 작정인지 알 수 없다.
시가 야구장 문제를 따로 떼어내 2차 용역을 주는 등 신속한 추진력을 자랑하는 배경은 청사 터 선정 작업은 시의회가 해야 할 일인 반면 야구장은 행정력의 영역에 속한다고 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야구장과 기념물 건립지는 시가 단독으로 용역조사에 의한 타당성 평가 결과에 따라 대상지를 선정해 별 탈이 없는 것이라는 판단을 하는 듯하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이다. 시의 균형발전시책이 아직 유효하다면 야구장이 건립되는 지역에는 청사를 줄 수 없다. 기념물 건립지도 마찬가지다. 만일 마산과 진해에 야구장이나 기념물 조성을 결정하면 청사는 당연히 구 창원지역이다. 통준위에 의해 1순위 청사후보지에 오른 마산과 진해지역 시민들이 순순히 받아들이겠는가. 가능성은 작지만 시가 3대 기념사업의 각개 비중을 단순비교하고 있다면 그것은 왜곡이다. 청사문제는 다른 두 개 사업과 견줘 고려될 성질의 것이 아니다. 일단 청사 터를 먼저 정한 후 다른 2개를 균등배치할 수 있을 뿐이다. 이건 움직일 수 없는 원칙이다.
창원시의회는 통합 지역별로 의원들의 지역 이기주의가 균열을 일으킨 상태다. 구 창원지역 의원들은 청사 선정작업을 뒤로 미루면서 마산·진해 지역 의원들이 원칙이행을 고집한다면 재분리도 불사하겠다는 배수진을 쳤다. 마산지역 의원들은 50여 개 기관·시민사회단체들로 결성된 청사유치위원회와 호흡을 같이하며 청사 터 우선 선정을 최대 과제로 삼았다. 이런 와중에 선을 보인 야구장 후보지는 문제해결이 아닌, 불씨를 더 키우는 쪽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시 당국의 처신이 합리적 여론에 근거하는가를 되짚어 볼 때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