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창원시의회 균형발전위원회에서 정부의 통합 인센티브를 조정한 조례안이 통과됐다. 통합 인센티브는 정부가 시·군 자율적 통합의 대가로 지원하기로 한 것이며, 내년부터 10년간 146억 원이 지원된다. 옛 마산, 창원, 진해 배분 비율은 각각 4:2:4로 조정됐다. 본회의를 남겨두고 있지만, 분란 집안이 된 창원시의회의 갈등을 푸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특정 지역 시의원들이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이기심을 보면 장담하기 어려울 것 같다.
29일 옛 창원 지역 시의원들은 마산, 진해 지역 시의원들의 반대에도 '통합시 청사 등 현안 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의 건'을 단독 발의했다. 통합시 청사 위치 결정이나 용역에 대한 논의가 담겨 있는 것으로 새삼스러운 내용은 없다. 마산과 진해 지역 시의원들로서는 청사 조기 확정 결의안이 통과된 마당에 인제 와서 새롭게 청사 문제를 논의해보자는 것이 뜬금없게 느껴질 것이다. 이들은 원래 일정에 따라 청사 입지를 빨리 결정하는 것이 해답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도 새롭게 논의할 것이 있는 것처럼 특위를 꾸리는 것은 창원 지역 의원들이 청사 조기 결정을 최대한 늦추려는 의도라고 의심하고 있다. 통합 청사 문제를 합리적이고 민주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특위 구성의 목적이라면서 단독으로 특위 구성을 밀어붙이는 것은 독단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통합 창원시 출범 과정에서부터 줄곧 지역 정치인들은 동상이몽을 꿈꾸었다. 양보와 상생은 안중에도 없고 공존할 수 없는 이익을 위해 통합이라는 간판만 필요했던 것이 지금 나타나는 갈등의 원인이다. 장동화 시의원이 청사 조기 확정 결의안을 저지하려고 분리 건의안을 냈다고 실토하는 것에서 드러나듯 진정성 없는 정치적 꼼수가 횡행하고 있다.
다시 분리할 생각도 없으면서 분란만 일으키는 지역 정치인들의 정치 놀음과 달리, 마산과 진해 지역민이 느끼는 소외감과 박탈감은 절대 적지 않다. 마산과 창원 지역민의 상당수는 창원에 일방적으로 흡수·통합되고 있다고 생각할 정도다.
창원시의 행정도 마산과 진해의 자존심과 자취를 지우는 작업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오해할 만한 것들도 있다. 통합시라는 허울에 기댄 지역 정치인들의 탐욕이 지역민들의 내상을 먹고 커가도록 내버려둘 수는 없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