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집중 검토..매립위치 조정 반대
"마산 해양신도시를 비즈니스 단지나 금융 중심지로 구상 중이다."
박완수 창원시장이 25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마산 해양신도시와 관련해 세 번이나 반복한 말이다. 지난 23일 관련 시민토론회에서 허정도 건축사와 송순호(민주노동당, 내서읍) 시의원 등이 마산만 매립과 해양신도시 조성에 따른 환경피해와 마산원도심 상권과의 충돌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표출한 데 따른 발언으로 풀이됐다.
이날 해양신도시 관련 질문이 나오자 박 시장은 "해양신도시 개발을 적극적으로 보자. 마산지역 발전의 동기가 될 수 있고, 돼야 한다"며 "지금 마산에는 없는 시설,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설이 들어서게 하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는 "여의도나 맨해튼 같은 비즈니스 단지나 금융 중심지로 만들 수도 있다. 금융기관을 집중시킨다든지, 대기업 본사나 지사의 유치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세 번이나 반복할 만큼 '비즈니스 단지'와 '금융 중심지'에 방점을 두었다. 최근 허정도 건축사가 "공사비를 절감하고 해안경관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매립 위치를 MBC송신소 쪽 내만에 붙이는 형태로 조정하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된 답변으로 박 시장은 "해양신도시가 미래 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면 위치를 조정하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며 반대 뜻을 나타냈다.
송순호 의원의 창원시 재정투자 주장과 관련한 답변도 있었다. 시민토론회에서 송 의원은 "해양신도시가 창동·오동동·월영동 등 기존 상권과 충돌하지 않으려면 주거지나 상가 같은 상업개발이 아니라 공익개발을 해야 한다. 그러려면 창원시가 마산만 매립공사비 일부에 직접 재정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관련해 박 시장은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하는 게 먼저다. 그 이후에 재정 투자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며 "매립지 호안공사에 드는 비용 1000억 원을 정부에서 지원해줄 것을 요청해놓고 있다"고 밝혔다. 해양신도시 논란의 발단으로, 현재 조성 중인 가포신항 컨테이너부두 유치 전망 등 장기적 마산항 발전 전략을 묻는 질문도 나왔다.
이에 박 시장은 "가포신항의 용도 문제는 이 시점에서는 더 이상 논란이 돼서는 안 된다"고 못을 박았다. 이어 그는 "이제 문제는 가포신항 배후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이다. 최근 관계 법령이 바뀌어 항만배후부지에 주거 공간이나 비즈니스 공간까지 할 수 있게 됐다. 통합시 전체로 봤을 때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게끔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