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영국 의원 "근거없이 사업 추진돼"..진해구민 "절차따라 진행한 것" 반발

창원시가 추진 중인 제2안민터널(안민IC∼석동IC) 건설에 대한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건설 타당성 공방으로 시작한 논란은 민자도로인 제2창원터널과의 경쟁관계로 말미암은 보전 문제가 보태져 지역간 갈등 우려마저 낳고 있다.

이 갈등은 오는 10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맡긴 제2안민터널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증폭될 기미다.

애초 이 문제를 제기한 여영국(진보신당, 창원5) 도의원은 23일 오후 2시 창원시청 브리핑룸에서 창원시가 여 의원의 주장에 반박한 것에 대해 재반박 기자회견을 열었다.

여 의원은 "창원시는 제2안민터널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만 인용한 채 터널을 건설하지 않는 대안을 최적안으로 선택한 보고서의 최종 결론은 애써 무시했다"며 "아전인수격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진해구 석동 롯데마트 앞 3호광장 교통체증과 관련해 이미 옛 진해시가 입체로 용역을 진행하던 중 통합이 됐는데, 창원시는 특별한 근거 없이 이 사업을 보류하고 제2안민터널 개설로 방향을 전환했다"면서 "제2안민터널 개설은 3호광장의 지·정체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창원터널과 접속하게 돼 제2창원터널 이용자에게 부담이 돌아가게 된다"며 개설을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여 의원은 또 "도로정책에서 무엇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 대중교통계획을 고려해 무조건 다리 놓고 터널 뚫는 식은 안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 의원의 기자회견이 끝나자마자 진해구를 지역구로 둔 창원시의원과 주민자치위원 등 10여 명이 다시 이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3호광장 지하차도는 기본 600억∼700억 원이 드는 사업인데다 진입부 확충 등 예산이 추가돼 옛 진해시 재정으로는 추진하기 어려웠다. 푸르지오 아파트 등 주민들도 극심하게 반대하는 등 이 계획이 파기된 것은 정당한 절차였다"면서 "그보다 안민터널 통행량이 하루 5만 6000여 대로 지금 당장 고통을 받고 있는 구간인데 제2안민터널 개통을 반대하면서 계속 기다리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나온 발상이냐"고 지적했다. 또 "제2창원터널과 경쟁관계 때문에 도 재정상 문제가 발생하고 사파동 일대 교통량이 급증해 집단민원이 생길 것은 걱정하면서 앞으로 8만여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안민터널로 고통받는 진해구민은 염두에 없다. 민자사업자의 수입 보장 때문에 어렵게 딴 국비를 포기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창원시 관계자는 "3호광장 지하차도 건설은 공사비가 너무 많이 드는 반면 개선 효과는 적다"면서 "귀곡~행암 구간 도로가 건설되면 현재 안민터널에 1만 5000대의 차량이 더 몰려 교통지옥이 된다. 지금부터 제2안민터널 개설을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