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영국 의원 부당성 지적 기자회견에 진해지역 시의원들 발끈

창원시가 추진 중인 제2안민터널(성주동∼석동) 개설 사업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23일 자 1·3면 보도

애초 제2안민터널 개설의 부당성을 지적한 여영국(진보신당, 창원5) 도의원의 주장을 창원시가 반박한 데 이어, 여 의원이 창원시 주장을 재반박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여기다 진해지역 창원시의원들이 가세해 여 의원의 주장을 비판하며 창원시 입장을 거들었다.

논란 또한 애초 제2안민터널 타당성 조사 보고서를 기반한 경제성 공방에서 제2창원터널 경쟁관계로 말미암은 손실 보전을 둘러싼 지역 간 대립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여영국 의원은 23일 오후 2시 창원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시는 제2안민터널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만 인용한 채 터널을 건설하지 않는 대안을 최적안으로 선택한 보고서의 최종 결론은 애써 무시했다"며 "아전인수격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여영국 의원의 기자회견이 끝나자마자 이번에는 진해구를 지역구로 둔 창원시의원과 주민자치위원 등 10여 명이 여 의원의 주장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여 의원은 23일 오후 2시 창원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시는 제2안민터널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만 인용한 채 터널을 건설하지 않는 대안을 최적안으로 선택한 보고서의 최종 결론은 애써 무시했다"며 "아전인수격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진해구 석동 롯데마트 앞 3호광장 교통체증과 관련해 이미 옛 진해시가 입체로 용역을 진행하던 중 통합이 됐는데, 창원시는 특별한 근거 없이 이 사업을 보류하고 제2안민터널 개설로 방향을 전환했다"면서 "제2안민터널 개설은 3호광장의 지·정체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창원터널과 접속하게 돼 제2창원터널 이용자에게 부담이 돌아가게 된다"며 개설을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여 의원은 또 "도로정책에서 무엇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 대중교통계획을 고려해 무조건 다리 놓고 터널 뚫는 식은 안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 의원의 기자회견이 끝나자마자 이번에는 진해구를 지역구로 둔 창원시의원과 주민자치위원 등 10여 명이 여 의원의 주장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3호광장 지하차도는 기본 700억∼800억 원이 드는 사업인데다 진입부 확충 등 예산이 추가돼 옛 진해시 재정으로는 추진하기 어려웠다. 푸르지오 아파트 등 주민들도 극심하게 반대하는 등 이 계획이 파기된 것은 정당한 절차였다"면서 "그보다 안민터널 통행량이 하루 5만 6000여 대로 지금 당장 고통을 받고 있는 구간인데 제2안민터널 개통을 반대하면서 계속 기다리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나온 발상이냐"고 지적했다.

또 "제2창원터널과 경쟁관계 때문에 도 재정상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는 걱정하면서 앞으로 8만여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안민터널로 고통받는 진해구민은 염두에 없다. 민자사업자의 수입 보장 때문에 어렵게 딴 국비를 포기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창원시 관계자는 "3호광장 지하차도 건설은 공사비가 너무 많이 드는 반면 개선 효과는 적다"면서 "귀곡-행암 구간 도로가 건설되면 현재 안민터널에 1만 5000대의 차량이 더 몰려 교통지옥이 된다. 지금부터 제2안민터널 개설을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제2안민터널(안민IC∼석동IC) 개설사업은 오는 10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