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영국 의원 부당성 지적 기자회견에 진해지역 시의원들 발끈
창원시가 추진 중인 제2안민터널(성주동∼석동) 개설 사업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23일 자 1·3면 보도
애초 제2안민터널 개설의 부당성을 지적한 여영국(진보신당, 창원5) 도의원의 주장을 창원시가 반박한 데 이어, 여 의원이 창원시 주장을 재반박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여기다 진해지역 창원시의원들이 가세해 여 의원의 주장을 비판하며 창원시 입장을 거들었다.
논란 또한 애초 제2안민터널 타당성 조사 보고서를 기반한 경제성 공방에서 제2창원터널 경쟁관계로 말미암은 손실 보전을 둘러싼 지역 간 대립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여 의원은 23일 오후 2시 창원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시는 제2안민터널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만 인용한 채 터널을 건설하지 않는 대안을 최적안으로 선택한 보고서의 최종 결론은 애써 무시했다"며 "아전인수격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진해구 석동 롯데마트 앞 3호광장 교통체증과 관련해 이미 옛 진해시가 입체로 용역을 진행하던 중 통합이 됐는데, 창원시는 특별한 근거 없이 이 사업을 보류하고 제2안민터널 개설로 방향을 전환했다"면서 "제2안민터널 개설은 3호광장의 지·정체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2창원터널과 접속하게 돼 제2창원터널 이용자에게 부담이 돌아가게 된다"며 개설을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여 의원은 또 "도로정책에서 무엇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 대중교통계획을 고려해 무조건 다리 놓고 터널 뚫는 식은 안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 의원의 기자회견이 끝나자마자 이번에는 진해구를 지역구로 둔 창원시의원과 주민자치위원 등 10여 명이 여 의원의 주장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3호광장 지하차도는 기본 700억∼800억 원이 드는 사업인데다 진입부 확충 등 예산이 추가돼 옛 진해시 재정으로는 추진하기 어려웠다. 푸르지오 아파트 등 주민들도 극심하게 반대하는 등 이 계획이 파기된 것은 정당한 절차였다"면서 "그보다 안민터널 통행량이 하루 5만 6000여 대로 지금 당장 고통을 받고 있는 구간인데 제2안민터널 개통을 반대하면서 계속 기다리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나온 발상이냐"고 지적했다.
또 "제2창원터널과 경쟁관계 때문에 도 재정상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는 걱정하면서 앞으로 8만여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안민터널로 고통받는 진해구민은 염두에 없다. 민자사업자의 수입 보장 때문에 어렵게 딴 국비를 포기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창원시 관계자는 "3호광장 지하차도 건설은 공사비가 너무 많이 드는 반면 개선 효과는 적다"면서 "귀곡-행암 구간 도로가 건설되면 현재 안민터널에 1만 5000대의 차량이 더 몰려 교통지옥이 된다. 지금부터 제2안민터널 개설을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제2안민터널(안민IC∼석동IC) 개설사업은 오는 10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진영원 기자
dada@idomin.com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