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장지연을 비롯하여 친일 행적이 드러난 독립운동 유공 인사 19명에 대한 서훈 취소가 국무회의에서 비로소 의결되었다. 대통령의 재가라는 마지막 절차가 남아있지만, 현재까지는 역사적 과제에 부응하는 지극히 당연하고도 타당한 조처라고 판단한다. 이를 계기로 미완의 과제인 친일 청산 작업이 활력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특히 장지연에 대한 국가보훈처에 이어 국무회의의 서훈 취소 의결은 지역에서 친일 인사들의 감추어진 행적을 밝혀내고 이들의 서훈 취소나 기념사업 중단을 위해 노력해왔던 시민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경남도민일보 또한 을사늑약 당시 '시일야방성대곡'을 쓴 항일 언론인으로만 알려졌던 장지연의 친일 행적을 사회적 의제로 만드는 데 앞장섰다.
친일 청산 작업은 친일 행적이 진작에 밝혀진 사람들이 누렸던 부당한 영화나 영향력을 차단하는 것 못지않게, 떳떳한 행적만 드러나고 친일 행적은 은폐된 것을 규명하는 작업도 포함한다. 경남 지역에서 장지연과 비슷하게 명예로운 이력만 부각되고 이를 뒤덮는 불명예스러운 자취가 뒤늦게 드러난 존재가 아동문학가 이원수다. 그러나 2002년 이원수의 친일 행적이 밝혀진 뒤에도 창원시는 이원수 기념사업을 계속 지원해왔으며, 출생 100년을 맞은 올해에는 2억 9000여만 원의 예산 지원을 강행하고 있다.
장지연이나 이원수는 이은상, 조두남 같은 부류와 달리 평생 '일관되게' 권력과 체제에 영합한 것은 아니니 한 가지 잣대로 평가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주장은 인간의 복합적 면모를 강조하는 것 같지만, 실은 그 자체로 통합적인 존재인 인간에게서 자신이 보고 싶은 부분만 떼어놓고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 물론 한국 언론사에서 한때 의분에 찬 필력을 남긴 장지연이나 근대 아동문학에 아로새겨진 이원수 자취는 객관적으로 평가돼야 한다. 그러나 장지연과 이원수가 불의한 시대에 맞서기도 했지만 친일 부역행위를 했다면 서훈의 취소나 기념사업 중단은 당연하다.
국가보훈처가 장지연에 대해 서훈 취소 조처를 한 뒤에도 마산합포구에 있는 그의 묘지는 요지부동 경남도 문화재로 남아 있었다. 지금이라도 장지연 묘지에 대해 경남도의 문화재 지정 취소가 단행돼야 하며, 창원시의 이원수 기념사업도 중단되어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