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기숙사 유치 등 사업방향 전환 검토 중
마산회원구 회성동 자족형 복합행정타운 조성과 관련해 창원시가 "용도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창원시 도시개발사업소는 30일 열린 창원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행정타운에 연구소·기업 기숙사 유치 등 사업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산회원구 회성동 자족형 복합행정타운은 준혁신도시 대안으로 2007년부터 추진됐다. 그 내용은 마산교도소(현 창원교도소)를 내서읍으로 이전하고 그 자리에 법조타운(창원지법 마산지원·창원지검 마산지청·보호관찰소 등)을 조성하고, 각급 행정기관 유치로 복합행정타운을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마산교도소 이전사업 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재무상황 악화 등으로 난관에 부딪혔고, 각급 행정기관 유치도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애초 마산교도소 이전사업은 2011년 2월 완료예정이었지만, 현재는 그나마 2012년 착공을 기대하는 정도다.
![]() |
||
이런 분위기로 흘러가자 박삼동 의원(회원1·2동, 회성동, 석전1·2동, 합성1동)은 지난 10월 26일 창원시의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남개발공사(행정타운 시행사)의 재정난으로 사업 추진이 답보상태인데, 매우 황당하다"며 "제3 민간투자 사업자 발굴을 하든지 시가 사업을 승계해서라도 반드시 정상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날 업무보고 자리에서는 손태화 의원(마산회원구 양덕1·2동, 합성2동, 구암1·2동, 봉암동)이 입을 열었는데, 사업 방향 전환을 주문했다. 손 의원은 "준혁신도시를 하려다 안 돼서 선회한 것이 복합행정타운"이라며 "지금 이 자체가 필요한가? 행정낭비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애초 용도 취지와 달라진 현 상황을 생각해야 한다.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 기업 유치 등 발상 전환을 할 시기가 됐다"고 했다.
이에 대해 양윤호 도시개발사업소장은 "사업을 포기하면 민원은 불 보듯 뻔하다"면서 "그래서 수익 창출 사업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양윤호 소장은 "국토해양부와 최근 협의한 결과 지자체에서 용도 변경해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며 "상공회의소가 필요로 하는 시설이 있는지 알아보기도 했다. 산업단지는 어렵지만 연구소·기업 기숙사 유치 등 사업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