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청·지원 합포구에 들어서자 궁금증 확산..창원시 "반드시 조성"
"마산합포구청 일대가 법조타운이면, 회성동 법조타운은 어떻게 되나?"
창원지법과 지검 아래 마산지원·지청이 올해 들어 3월과 9월에 잇달아 문을 열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청(옛 마산시청)을 사이에 두고 마산지원은 장군동에, 마산지청은 중앙동에 들어섰다. 1992년 마산지법과 지검이 창원으로 옮긴 지 19년 만에 다시 문을 연 셈이다.
지원·지청 개청을 두고 이 일대가 법조타운으로 바뀌는 게 아니냐는 시각이 많다. 주변 상인들의 기대도 크다. 통합으로 시청사가 빠져나간 이후 위축된 인근 상권이 되살아날 것으로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기대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현재 지원·지청 위치는 임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애초 '마산 법조타운'은 마산회원구 회성동에 조성할 복합행정타운 안에 들어설 예정이었다. 그러나 창원교도소(옛 마산교도소) 이전 사업이 늦어지면서 하세월이다. 2013년 6월까지 완공 목표였던 법조타운은 2015년으로 잠정 연기한 상태다.
마산합포구 일대 임시 청사 개청을 지켜보는 회성동 주민들의 마음도 불편할 수밖에 없다. 한 주민은 "이러다가 아예 법조타운이 안 생기는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
김흥수 창원시 도시개발사업소장은 4일 "복합행정타운 사업을 맡은 경남개발공사와 교도소 이전 사업 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두 곳 다 재무 상황 악화로 사업에 차질이 있지만 조금씩 진척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창원시는 올해 창원교도소 이전과 관련해 토지보상비 40억 원을 책정하고, 현재 실시계획인가 신청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실시설계추정액과 부지 감정평가액의 차액 보전 방안 등을 제기하며 미온적인 자세로 일관해온 LH에 달렸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LH는 통폐합 이후 100조 원대로 늘어난 부채를 핑계로 내세웠는데, 올 상반기부터 부채가 줄고 있어 명분이 사라졌다"며 "LH 사장이 지역 국회의원과의 면담에서 '사업은 반드시 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교도소 이전은 법조타운 조성과 상관없이 해결해야 할 숙원사업"이라며 "창원시가 관련 예산을 반영하는 등 의지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추석 이후인 이달 중순 국회에서 안홍준 의원과 창원시·LH 관계자들이 만나 교도소 이전 문제에 대한 앞으로의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